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플로리다 '악어 교도소', 미국의 불편한 진실

  • 김동욱 기자
  • 입력 2025.07.24 21:5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의 습지 깊숙한 곳, 오래전 폐쇄된 공항 부지가 열흘 만에 이민자 구금시설로 탈바꿈했다. 철조망을 두른 이 센터는 곧 ‘악어 교도소(Alligator Alcatraz)’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열악한 환경과 강압적인 수용 방식이 알려지며, 미국 내 인권 실태를 상징하는 공간이 됐다.

 

1000022865.jpg

 

시설 내부 영상이 공개되자 충격은 더욱 커졌다. 32명이 하나의 철제 우리에 갇혀 하루 한 끼를 제공받으며, 무릎 꿇은 채 차꼬를 찬 상태로 식사를 해야 한다. 음식에는 구더기가 섞여 있는 경우도 있었다. 바닥엔 오수가 흘렀고, 사람들은 신발을 베개 삼아 콘크리트 바닥에 누워 잠을 청했다. 백악관은 이 시설을 ‘자연적 억제력’이라 설명했지만, 영상은 이 설명이 얼마나 기만적인지 보여줬다.


시설이 지어진 곳은 마이애미에서 약 80㎞ 떨어진 습지대다. 우기에는 침수되는 자갈길 하나만이 외부와 연결되고, 모기떼와 뱀, 악어가 들끓는 환경은 ‘보이지 않는 감시자’가 된다. 영국 출신 이민자 조한은 손이 뒤로 묶인 채 음식에 얼굴을 갖다 대며 먹어야 했던 경험을 증언했다. 과테말라 출신 이민자 페드로는 “이곳에서의 고문은 일부 사례가 아니라 일상”이라고 말했다.


센터 설립 과정에서도 절차적 정당성은 무시됐다. 플로리다 주 정부는 ‘비상조치’ 조항을 발동해 지역 주민과 원주민의 반대를 제쳐두고 토지를 강제 수용했다. 미콜수키(Miccosukee) 부족은 “조상 대대로 살아온 보호구역에 구금시설이 세워진 것은 19세기 원주민 강제이주를 떠올리게 한다”고 반발했다. 6월 말에는 수백 명의 시민이 도로를 점거해 항의했지만, 물자 수송 트럭은 멈추지 않았고, 철제 우리들은 매일 수천 명 단위로 채워졌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플로리다의 강제수용소, 미국의 수치”라는 제목으로 이 시설을 비판했다. 최근 공개된 92쪽 분량의 인권보고서는 이러한 학대가 특정 시설에만 국한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올해 들어 단속이 강화된 이후, 플로리다의 주요 이민자 구금시설은 의료 방치와 고문, 언어폭력 등 인권 침해의 전형이 되고 있다. 인슐린과 천식 치료제 제공이 거부된 사례도 수차례 보고됐다.


국토안보부는 모든 학대 및 환경 피해 주장을 “근거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다른 주와 유사 모델 도입을 협의 중이라고 밝혀, ‘악어 교도소’의 복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2026년 중간선거를 앞둔 미국 사회에서, 이민자 구금센터는 더는 단순한 정책 수단이 아니다. 이는 미국이 스스로 주장해온 ‘자유’와 ‘인권’이라는 가치를 어디까지 실천하고 있는지를 가늠하는 잣대가 되고 있다. 습지 한가운데 쇠창살 너머로 드러난 인간의 삶은, 그 어떤 외교 수사보다 강하게 미국의 현실을 비추고 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시진핑 권력 이상 징후?…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中 외교부가 극찬한 배우, 유역비의 조용한 선행 17년”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 유역비, 37세에도 ‘요정 미모’ 과시…“나이는 숫자일 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플로리다 '악어 교도소', 미국의 불편한 진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