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오는 8월 31일부터 이틀간 중국 톈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다. 지난 2020년 인도와 중국 사이의 유혈 충돌이 벌어졌던 ‘갈완 계곡 사태’ 이후 양국 관계가 얼어붙은 가운데, 이번 방문은 관계 정상화를 위한 중요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모디 총리가 마지막으로 중국을 찾은 것은 2019년. 이후 양국 정상은 2024년 10월 카잔에서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서 조우한 바 있다. 당시 양측은 국경 긴장 완화 방안과 종교 순례 재개 등에서 의견 접근을 보이며 관계 회복의 단초를 마련했다.
이번 SCO 회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산 제품에 최고 5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로 인도에 압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열리는 만큼, 인도 입장에서 중국과의 관계 재조정은 미국에 대한 ‘균형 카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인도의 중국 접근에는 복잡한 과제가 놓여 있다. 중국의 파키스탄 지지, 지난 4월 인도 카슈미르 파할감에서 발생한 테러(사망자 26명)와 그에 대한 SCO 내 온도차가 대표적이다. 지난 6월 SCO 국방장관 회의에서 인도는 해당 테러 사건이 공동성명에서 제외된 것을 문제 삼아 서명을 거부했다. 파키스탄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중국은 다음 달 미국이 테러조직으로 지정한 파키스탄계 무장세력 '레지스턴스 프런트'를 겨냥해 “모든 형태의 테러를 반대한다”며 입장을 바꾸기도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테러와 안보, 경제 협력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모디 총리는 회의 계기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을 가질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상외교가 국경 분쟁 해소, 에너지 안보 확보, 다자외교 지형 재편 등에서 인도의 향후 외교 노선을 가늠할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SCO는 2001년 결성된 지역 안보·경제 협의체로, 현재 인도, 중국, 러시아, 파키스탄,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벨라루스 등 10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BEST 뉴스
-
대림동, 극우 반중 시위…시민단체 맞불 집회로 충돌 일촉즉발
[동포투데이] 서울 최대 중국인 밀집 지역인 대림동에서 7월 11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등 극우 성향 인사 약 40명이 반중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 ‘Only 尹’(윤석열 복직 요구)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중국은 물러가라”는 등 혐오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고, 중국계 주민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반중’ 외치는 거리, 중국산으로 돌아가는 공장… 한국 사회의 기묘한 역설
[동포투데이] 서울에서 반중(反中) 시위가 거세게 일어나고 있지만, 현실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아이러니’가 계속되고 있다. 거리에서는 “중국인 물러가라”는 구호가 울려 퍼지지만, 산업 현장과 소비자 시장에서는 중국산 제품이 여전히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 &n...
NEWS TOP 5
실시간뉴스
-
76초에 한 대…샤오미 공장이 바꾼 제조의 풍경
-
"AI, 챗봇 넘어 '공장'으로…中, 지능형 생산모델로 세계 시장 재편"
-
갈등 넘은 첫 발걸음… 모디 총리, 5년 만에 중국 방문
-
소문으로만 알던 땅, 마음이 머문 곳… 장쑤 청년이 만난 ‘연변’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맥도날드 중국, '현지화 속도'로 1만 개 매장 시대 연다
-
가짜 원사, 진짜처럼 통했다… 완샤오핑 사태가 남긴 질문
-
"中 자율주행차, 세계 도로 누빈다"…두바이부터 룩셈부르크까지 로보택시 진출 가속
-
태국 외교부, 캄보디아 지도자 암살 계획설 전면 부인
-
중국군 수뇌부 ‘줄줄이 실종’…건군 98주년 행사에 상장 7명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