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포투데이]미국 연방 정부의 재정 경고음이 한층 더 커지고 있다. 미국 의회예산처(CBO)에 따르면 연방 부채는 이미 36조 달러를 넘었고, 부채와 국내총생산(GDP) 비율은 123%에 달한다. 현재 추세라면 이 비율은 2035년 118%까지 오를 전망이다. 2025회계연도 연방 예산 적자 역시 1조8천억 달러 규모로, GDP 대비 6.8%에 이르렀다.
미국의 부채 문제는 단순한 재정 적자 수준이 아니다. 2차대전 종전 뒤 최고치를 뛰어넘으며 연방 부채는 사상 최악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CBO는 부채 대비 GDP 비율이 2024년 98%에서 2035년 118%로 치솟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9년에는 역사적 고점이었던 1946년의 106%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자 부담은 이미 위험 수위를 넘었다. 2025년 6월 기준 미국 국채 이자 지출은 처음으로 국방비를 추월해 1조1천억 달러에 도달했다. 미국 납세자가 내는 세금 1달러 중 19센트가 기존 빚의 이자로 빠져나가는 셈이다. CBO는 순이자 지출이 내년에 1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으며, 사실상 ‘세금 5달러 중 1달러’가 이자로 사라지는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
전통적 재정 수단이 힘을 잃어가는 가운데, 워싱턴은 새로운 돌파구를 암호화폐에서 찾고 있다. 2025년 7월 미국 하원은 스테이블코인 시장 확대를 위한 이른바 ‘지니어스 법안’을 통과시키며 관련 산업을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였다. 현재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2,600억 달러를 넘는데, 그중 95%가 달러 기반이다.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의 주요 투자처 가운데 하나가 미국 국채라는 점은 미국 정부가 주목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미국 정부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2030년까지 3조7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경우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미국 국채의 최대 수요처 중 하나가 되며, 미 재무부는 새로운 국채 순환 구조를 얻게 된다. 미국 재무부가 채권을 발행하면 스테이블코인 회사가 이를 매입하고, 사용자들은 스테이블코인을 취득하며, 재무부는 현금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이용자들이 사실상 미국 국채 부담을 떠안는 구조라는 비판이 따라붙는다.
미국은 동시에 글로벌 암호화폐 규제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백악관은 미국 국세청(IRS)이 해외 미국인의 암호화폐 계정 정보를 확보하고 과세에 반영하는 규정을 추진 중이며, OECD의 ‘암호화폐 자산 보고 체계(CARF)’ 참여도 언급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민의 암호화폐 보유 정보를 자동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규제 강화는 또 다른 부작용도 낳고 있다. 블록체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2025년 7월 중순 기준 올해 전 세계에서 도난된 암호화폐 규모는 이미 21억7천만 달러로, 2024년 한 해 동안의 총액(18억7천만 달러)을 넘어섰다. 2017년 이후 스마트 계약 취약점으로 발생한 손실은 20억 달러 이상, 대형 거래소 해킹으로 사라진 금액은 30억 달러에 달한다. 미국발 규제 변화가 암호화폐 범죄 급증 시점과 겹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브레턴우즈 체제를 지탱한 금 달러, 중동 정세와 결부된 석유 달러에 이어 미국은 이제 암호화폐까지 달러 패권의 새로운 무대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이름 아래 세계 각국의 사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미국 국채 시장의 부담을 떠안는 구조가 고착되고 있다는 비판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일본행 경고 하루 만에… 중국 항공사들 일제히 ‘전액 무료 환불’
[동포투데이]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을 자제하라고 공식 경고한 지 하루 만에, 중국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을 대상으로 한 ‘특별 조치’를 일제히 발표했다. 15일 오후 5시(현지시간) 기준 에어차이나,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하이난항공, 쓰촨항공 등 5개 항공사는 12월 31일까지 일본 출·도착 항공...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탈사회주의 20여 개국, 30년의 명암
-
상하이, 2025 글로벌 혁신 지수 세계 10위권 진입
-
국제사기 연루 일본인 14명, 말레이시아서 체포
-
마스조에 전 도쿄지사 “일본 ‘중국 전문가’ 시사 논평, 5년 전 인식 수준”
-
日, 독도 영유권 공세 재점화…韓·中 “역사 왜곡” 일제히 규탄
-
“다카이치 대만 발언, 국제 규범 위반… 역내 불안정 부추겨” 전문가들 일제히 비판
-
마크롱 “G20, 주기적 종말 단계 진입할 수도”… 美매체 “비극의 예언자 놀이” 조롱
-
트럼프 ‘불참 압박’ 역풍… G20, 만장일치로 공동선언 채택
-
“다카이치 발언, 도발적 무력 위협”… 중국, UN에 공식 서한 제출
-
우크라이나 “체면 있는 종전” 모색… 美 ‘28개 평화안’ 시한 앞두고 중대 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