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이민보고서 , 중국 영주권 년 248장 발급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중국 및 세계화싱크탱크는 일전 “세계이민보고서” 중국판을 발표, 보고서에서 중국은 날로 흡인력이 있는 이민목적지국가로 되고 있으며 본세기 10년간 중국의 이민은 35% 증가했다고 지적했다고 중국 언론 법치주말(法治週末)이 28일 전했다.
하지만 이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왕휘요 주임은 중국의 발전속도에 비하면 이 수치는 너무 적다고 인정했다.
날로 흡인력 있는 이민목적지국가
국제이민기구의 “세계이민보고 2013”에 따르면 과거에 홀시했던 추세―고수입국가에서 저수입국가에로의 이민 수가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 같은 추세는 날로 뚜렷해 지고 있다.
보고서는 2010년에 중국에는 외국이민 775명이 있었는데 지난 10년간 35% 증가했다면서 “중국은 날로 흡인력이 있는 이민목적지 국가로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가장 흡인력 있는 이민목적지 국가로 꼽히는 원인은 경제기회로서 선진국의 금융과 경제 위기에 반해 중국과 같은 신흥경제체 국가들은 기술인재 수요가 많으며 생활원가가 낮은 등이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외국에 나간 중국 유학생들의 귀국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바 2011년의 귀국유학생 수가 처음으로 출국유학생 수의 50%에 달했다.
하지만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의 이민 추세는 물론 주류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이민은 전 세계 이민의 3%―6%(700만―1300만명)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린카드(영주권) 얻기 가장 어려운 국가
목전 중국은 세계적으로 가장 그린카드를 얻기 어려운 국가로 꼽히고 있다. 2004년에 “그린카드” 제도를 실시해서부터 2011년 말까지 중국은 그린카드 도합 4700여장밖에 발급하지 않았는바 년 평균 248장밖에 발급하지 않은 셈이다. 헌데 이 시기 중국에 상주하는 외국인은 60만명에 달했다. “중국에서는 10년간 몇천장을 더 발급한 것이다. 다른 국가들에서는 1년에 그린카드 10여만―20여만장을 발급한다. 미국은 1년에 그린카드 100만장을 발급하는데 중국은 차이가 너무 많다” 왕휘요의 말이다.
왕휘요는 “중국 국제이민보고 2014” 청서에서 중국 인민은 거대한 적자를 보고 있다면서 “적자가 매우 크다.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에 이민온 외국인구는 현재 80여만명인데 반해 외국으로 이민간 중국인은 근 1000만명에 달하는바 10배가 넘게 더 많다”, “본 세기 전 10년간 중국의 이민적자는 확대될 추세”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이 외자에 개방할 뿐만 아니라 외국인재에도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중국에서 2004년에 발표한 “외국인의 중국 그린카드 획득 심사비준 방법”은 외국인이 중국에서 그린카드를 획득하는 한가지 상황으로 중국 공민과의 혼인관계가 만 5년간 지속되고 또 중국에서 연속 5년간 거주, 매년 중국에 거주한 기간이 9개월이 넘어야 하며 중국에 안정된 생활보장과 주소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대만 민심 “전쟁 피하려면 무기보다 대화”…58.3% “양안 협상 재개해야”
[동포투데이]대만 국민 다수가 중국과의 무력 대비보다 대화 복원을 통한 평화 유지가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만의 여론조사기관 메이리다오(美丽岛) 전자신문이 23일 발표한 10월 정기 조사에 따르면, “대만의 안전을 지키고 양안(兩岸) 전쟁을 피하려면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인...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 “대만 해방 시 외국 개입은 영토 침략”… “전쟁 불가피”
-
세계 과학 허브 절반이 중국 도시…베이징 10년째 1위
-
연길, 3년 연속 ‘중국 100대 관광지’ 선정
-
다카이치 발언 논란… 中, 류큐 지위 거론에 日 ‘당황’
-
中, 일본 간첩 활동 잇따라 적발…평화 위협 불용
-
일본 보이그룹 광저우 팬미팅 취소… 다카이치 발언 후폭풍 중국 내 확산
-
다카이치 ‘대만 유사’ 발언 후폭풍… 中 “침략행위면 정면타격”, 日 내부도 강력 비판
-
“대만 문제 외부 개입 안 돼”… 국민당, 日 총리 발언 강력 경고
-
日 의원 “中, 유엔 승인 없이도 일본 군사 타격 가능” 발언 파문
-
日 전직 총리 3인, 다카이치에 일제히 경고… “경솔한 발언 말라, 대만은 중국의 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