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국초기 모택동의 봉급은 500 위안
중화인민공화국이 창립되던 당시 모택동(毛澤東)은 중공중앙 주석 겸 국가주석을 모두 맡게 되어 말 그대로 중국의 제1임자였다. 또한 나라 창립 말고 기타 모든 방면의 공로같은 것을 보아도 모택동이 중국에서 봉급이 가장 높아야 함이 마땅했다. 하지만 새 중국의 창립초기와 지난 세기 50년대 중반까지 중국에서 모택동보다 봉급이 더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1~2명이 아니고 여러명이 되었다고 한다.
그제날 우리는 건국초기 모택동이 받은 봉급이 500위안인 것으로 들어왔으나 그것이 아니었다. 1956년 제1차 중국의 로임개혁 이전까지 모택동이 받은 봉급은 408위안이었다고 한다.
당시 모택동보다 봉급이 더 높은 사람 중 한 분이 바로 엽기손 선생이었다. 1898년 상해에서 태어난 엽기손 선생은 1918년 북경 청화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향발, 1920년 미국 시카코대학에서 리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23년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4년 귀국 후 엽기손 선생은 선후로 국립동남대학(지금의 남경대학) 부교수, 청화대학 교수, 청화대학 물리학부 주임 및 리학원 원장으로 있었다.
엽기손 선생은 중국의 탁월한 물리학가이며 교육가이며 중국물리학계의 제1대 종사(宗师)였다. 그는 중국과학원 학부위원으로, 중국과학계의 개척자로 중국물리학회의 창시인 중 일원이었다. 그는 또 중국물리학회 제1기, 제2기 부회장이었고 1936년부터는 회장직을 역임해왔으며 청화대학 100년 사상의 “4대 철인(四大哲人)”으로 불리기도 했다. “4대 철인 중” 기타 3명은 각각 번광단(潘光旦), 진인각(陈寅恪), 매이기(梅贻琦)었다.
1956년까지 엽기손 선생이 받는 봉급은 360위안이었다. 이러면 408위안을 받는 모택동보다 48위안이 적다고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한테는 별도로 나오는 고정수입이 있었다. 바로 중국과학원 학부위원으로 발급되는 월수당 100위안이 있었다. 그것까지 합치면 460위안으로 모택동보다 52위안이 더 많은 셈으로 되었다.
당시 엽기손 선생보다 봉급이 몇배 더 높은 사람도 있었다. 그는 국가공무원이 아니고 과학가도 아닌 사람이었다. 바로 저명한 바로 저명한 희곡대가 매란방으로 그가 매달 받는 봉급은 2000위안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건국초기 중국에서 봉급을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은 매란방이라 할 수 있었다. 매란방은 한국전쟁당시 중국군에 비행기를 헌납한 사람이기도 했다. 그 외 중국에서 모택동보다 봉급을 더 받은 사람으로는 매란방과 더불어 민국시기 중국내 3대 희곡대가로 알려진 마연량(马连良) 선생이었다. 당시 마연량 선생의 봉급은 매란방 선생보다 200위안이 적은 1800위안이었다.
지난 세기 50년대 초기 중국과학원 수·리·화 학부의 비서였던 호선생의 추억에 따르면 그 당시 청화대학에서 화식비 8위안만 내면 매일 육류와 생선을 먹을 수 있을 정도로 배안에 기름이 질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니 엽기손 선생같은 고수입자들은 얼마든지 잘 살 수 있었다. 하지만 엽기손 선생은 수입의 대부분을 학생접대와 빈곤친인척 돕기에 썼으며 그저 약간의 저금이 있었을뿐이었다고 한다. 당시 엽기손 선생의 저택은 주위에 흐르는 물이 있어 마치 섬도같은 느낌을 주어 많은 이들이 선망하는 곳에 있었다. 그 때는 지금처럼 팩시나 전자메일같은 것이 없어 매번 비서인 호선생이 자료나 우편물 등을 엽기손 선생댁에 전달해주군 했는데 그럴 때마다 엽기손 선생은 그를 붙들어 놓고는 한끼 배불리 먹이고야 돌려보내군 했다고 한다. 특히 그 뒤의 60년대 초기 중국 전체가 기아에 허덕일 때 엽기손 선생네 댁에 가면 사과 4알씩 가지군 했는데 호선생한테는 그 때의 일들이 아직까지도 즐거운 회억으로 남아있었다. 호선생에 따르면 당시 정협위원들은 정협의 내부상점에서 매달 한번씩 사과나 육류 등을 살 수 있었다고 한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편역
BEST 뉴스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갯벌 고립 중국인 노인에 구명조끼 내준 해경, 끝내 순직
△해양경찰관 고 (故)이재석 경사. 인천해경 제공 [동포투데이] 인천 앞바다에서 고립된 중국인 노인을 구하려던 해양경찰관이 끝내 순직했다. 위험에 처한 이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건네고 물살에 휩쓸린 그는 몇 시간 뒤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영... -
이재명 대통령 “명동 혐중 시위, 표현의 자유 아닌 깽판”
[동포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오후 국무회의에서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중 집회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해당 집회를 “관광객을 모욕하는 깽판”으로 규정하며, 단순히 ‘표현의 자유’로 치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외국에 가서 ‘어글리 코...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뉴욕 맨해튼에는 '간세부르트 페닌슐라' 해변 (사진/중국신문망 랴오판 제공) [동포투데이] 미국의 강화된 입국 규제가 외국인 관광객을 발길을 돌리게 하면서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중국신문망 보도에 따르면, 2025년 1~7월 미국을 찾은 해외 관... -
광복 80주년, 중국서 한국광복군 기념행사 개최
[동포투데이] 광복 80주년과 한국광복군 창설 85주년을 맞아 오는 14일부터 21일까지 중국 각지에서 한국광복군 관련 기념행사가 열린다. 국가보훈부(장관 권오을)는 이번 행사를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주관으로 마련해, 난징·충칭·청두·시안 등지에서 사적지 탐방, 임시정부청사 교류 세미나, 전시와 ... -
美 보수 인사 찰리 커크 피격 사망…22세 대학생 용의자, 경찰관 아버지에 의해 제압
▲경찰이 발표한 커크 피살 사건 용의자 사진 [동포투데이] 미국 유명 보수 성향 정치 활동가 찰리 커크(31)가 강연 도중 총격을 받아 숨진 사건의 용의자가 22세 대학생으로 확인됐다. 범행 직후 그의 아버지이자 현직 경찰관이 아들을 직접 제압해 당국에 넘긴 사실이 알려지며 충격을 주...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북한, ‘국방발전–2025’ 전격 공개… 극초음속 무기 앞세워 군사 자신감 과시
-
연변선봉국가삼림공원, 천년 고목과 청정한 공기의 숲속 여행
-
“한눈에 세 나라가 보인다”…훈춘 방천, ‘국경의 마을’에 몰려든 연휴 관광객
-
연길조선족민속원, 삶이 머무는 문화의 뜰
-
연길의 밤, 왕훙챵(网红墙)에 흐르는 빛과 열기
-
관광 대국으로 변신한 중국, 세계가 중국으로 몰린다
-
[르포] ‘‘두만강이 부르는 국경의 노래’…중국 연변, 변방에서 중심으로
-
“세워둔 샤오미 자동차 스스로 주행했다?”… 회사 측 “아이폰 조작 오해, 품질 문제 아냐”
-
“중국 청년들, ‘서울병(首尔病)’에 걸렸다?”…中 매체 “韓 언론, 과장·왜곡 심각”
-
“노벨상 위원회 경고… 트럼프, 美 과학 패권 중국에 내줄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