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회사가 의뢰하는 채권추심은 의외로 소액도 많아
필자가 일하는 곳은 채권추심을 전문적으로 하고 있는 법률사무소이다. 사무실에서 해외 관련 업무를 담당한 필자가 하는 일 중 하나는 우리나라 수출 업체들이 외국에 수출하고 받지 못한 미수금을 받아주는 것이다. 반대로 우리나라 업체들이 외국 수입업체로부터 수출 대금을 받지 못한 경우만큼 외국업체들이 한국으로 수출하고 받지 못한 미수금의 추심을 의뢰하는 경우도 많다.
특이한 것은, 외국업체들이 한국업체로부터 받아 달라는 미수금은 금액이 적은 경우도 많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1,000불 정도, 우리나라 돈으로 백 만원 정도의 돈도 받아달라고 의뢰를 한다. 그 외국 회사들이 1,000불에 회사 사운을 걸 만큼 작은 회사들은 아니며, 변호사비용 등을 고려하면 실제 받을 돈이 거의 없어도, 외국회사들은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소액 수출대금을 받으려 한국 수입업체에 전화를 하면 오히려 코웃음을 친다. 그렇게 작은 돈을 받으려고, 몇 년 전 발생한 채권에 대해 변호사사무실에 의뢰를 했느냐는 반응이다. “외국놈들 참 쩨쩨하기도 하다”하는 말이 전화기를 통해 들리는 듯하다.
한번은 한 독일 업체로부터 한국의 개인에게 판 물건대금을 받아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액수는 우리 돈으로 채 50만원이 되지 않았다. 수소문을 하여 한국 소비자를 찾아 연락을 했더니 여러 물건과 함께 그 물건을 구입한 것을 인정했으나, ‘쩨쩨하게 50만원을 안냈겠냐’고 반문했다. 그래서 영수증이나 지불을 증명할 서류를 보내 달라고 했더니, 국가 중요 기관에 조카가 근무하는데 조카에게 이야기하겠다는 협박 아닌 협박을 했다. 물품대금 50만원을 지불한 서류를 보내 달랬더니 ‘국가 기관’까지 들먹이며 나온 것이다. 국가 기관이 그런 일까지 관여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50만원에 국가 기관까지 들먹이는 한국인의 배포의 근거를 알지 못하겠다.
외국업체가 적은 액수라도 추심을 의뢰하는 이유는 원칙의 문제로 보인다. 매우 적은 액수이고, 태평양 혹은 유라시아 대륙을 끼고 있음에도 머나 먼 외국에 있는 법률사무소에 의뢰해서 돈을 받으려는 이유는 돈보다도 원칙의 문제이다. 자신들이 땀흘려 만든 제품을 팔고 나서 대가를 받지 못한 것을 그냥 넘어가는 것은 원칙에 어긋나는 것으로 보는 듯하다. 또한 미수금 문제를 해결하고, 상대업체와 사업관계를 이어가고자 하는 목적일 것이다.
친구와의 돈거래를 하게 되면, 액수가 크던 적던 그 금전관계를 깨끗이 마무리 짓지 않으면 친구관계가 힘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사업에서도 마찬가지다. 적은 액수라도 미수금이 남아 있으면, 상대 사업체와 다시 거래하는 것이 껄끄럽다. 그러므로 미수금을 깨긋하게 정리하는 것이 발전적인 사업상 관계를 지속하는 길이다.
원칙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은 언제나 쩨쩨해 보이기 마련이다. 하지만 정말 쩨쩨한 사람은 마땅히 지불해야 할 돈을 지불않고 ‘뭐 그까지 것을 가지고’ 배포있는 척 허세를 부리는 사람이다.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