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 분단 언어 차이 초래, 북한인 아이스크림 몰라

  • 기자
  • 입력 2015.04.06 21:2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남북한의 근 70년간 분리상태가 원래 사용하던 공동언어에 중대한 격차가 발생하게 했다고 도이체 벨레(Deutsche Welle, 독일의 소리) 가 보도했다.

생명 위험을 무릅쓰고 한국에 들어온 탈북자들로 보면 이 언어차이가 그들에게 상당하게 큰 장애를 대표하고 있다. 심지어 매우 간단한 아이스크림도 그들은 새로운 어휘로 배워야하게 됐다.

이 두 국가는 여전히 “한문(韩文)”이라고 하는 쓰기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이 시스템은 15세기에 개발되고 중국문자를 대체했다.

그러므로 탈북자들에게 읽기장애는 별로 없고 생활 어휘들의 뜻을 모르는 것이 큰 문제로 됐다.

그리하여 유니보카(Univoca)라는 스마트폰 프로그램이 위력을 발휘하게 됐다. 한국 톱급 홍보사 제일 월드와이드(Cheil Worldwide)가 개발한 이 프로그램은 근 3,600개 관건단어 번역을 제공하고 있다.

이 어휘들은 한국 고등학교 교재 및 일상생활 용어중에서 선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한국어로 “아이스크림(Ah-ee-sir-ker-rim)”을 입력하면 북한식 말“얼음 보성이 (oh-reum-boseung-yi)”이 출현한다.

제일 월드와이의 최재영 사장은 회사의 사회 추진계획의 한 부분으로서 이 무료 프로그램은 2월 중반 펴낸이래 다운로드 수사 이미 1,500차를 초과했다.

한 업체의 탈북자들이 관건 어휘 선정과 번역 작업에 참가했는데 그들 중 일부는 학생, 일부는 전 학교교사 등이었다.

그 중 김모씨(22) 학생은 이 프로그램이 그녀가 서울에 방금 왔을때 봉착한 언어 문제를 추억하게 했다고 말했다. 당시 그녀는 길을 물어보기도 힘들었다. 그것은 그녀가 사람들이 대답할 때 쓰는 단어를 알아듣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전문가에 따르면 서울과 평양간 언어 차이를 볼때 거리에서 흔히 출현하는 3개 어휘중 이러한 어휘 하나가 출현한다. 기업과 관영 언어들에서는 심지어 3개 어휘중 두 개나 존재한다. 이렇게 갈수록 증가하는 언어 차이가 심지어 양측이 주목하는 큰 문제로도 됐다. 25년이래 양측은 통일사전을 제작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 점이 바로 증명이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공산당의 축구 관리’ 노골화…심양, 37억 쏟아 대련 추격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 황영웅, 네티즌 어워즈 남자가수상 ‘독주’…팬미팅도 1분 매진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남북한 분단 언어 차이 초래, 북한인 아이스크림 몰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