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계 과반수 항공기 조종사 실업, 휴직 또는 타 업종에 종사

  • 허훈 기자
  • 입력 2021.01.31 17:3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5656.jpg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약 1년간 지구촌을 석권한 코로나19 여파로 세계 항공사의 과반수 조종사들이 더 이상 항공기 조종을 생계유지의 수단으로 여기지 않고 있다고 30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집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영국에 있는 항공업 채용기업인 ‘거위채용’과 ‘에어 인터내셔널’이 공동으로 2600명의 항공 조종사들을 조사, 지난 28일, 보고서는 “조사대상 중 43%는 여전히 항공기를 조종하고 있었지만 30%는 실업되었고 17%는 휴직 과정에 있었으며 10%는 항공기 조종과는 관련이 없는 종사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현재 여전히 조종사로 근무하고 있는 조종사들은 근무대우가 이전보다 많이 달라졌다고 인정, 터키의 항공사와 싱가포르 항공사의 조종사들은 모두 임시로 급여가 하향 조정되었다.


‘거위채용’의 창시인 겸 수석 집행관인 마크 채먼은 “코로나19 여파로 허다한 항공사의 조종사들은 자기의 직업이 안정하지 못하다고 인정, 갈수록 많은 조종사들이 올해에는 다른 직업을 찾으려고 타산하면서 고용주들이 조종사들을 그렇게 중시하지 않고 있다고 불평”이라고 피로했다.


조사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업을 면한 조종사 중 유럽의 조종사들이 코로나19 때문에 받는 정신적 압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하면 코로나19에 감염에 우려되고 항공편이 바뀔 때 격리명령이 떨어 질까봐 우려되는 등이었다. 그리고 조종사 중 84%가 개인의 실업원인을 코로나19와 연관시켰고 82%의 조종사들은 급여가 깎이더라도 조종실로 돌아가고 싶다고 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40%에 달하는 조사대상자는 자기의 심리건강이 코로나 19와 연결시켰으며 이런 사례는 젊은 조종사들 중 더욱 많았다.


한편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코로나19가 지구촌을 석권하기 전에는 세계적 범위에서 항공기 조종사가 부족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적지 않은 항공사에서는 인재를 영입하기 위하여 빈번히 항공기 조종사들의 대우를 높였다고 한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中 외교부가 극찬한 배우, 유역비의 조용한 선행 17년”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 유역비, 37세에도 ‘요정 미모’ 과시…“나이는 숫자일 뿐”
  • 이준석, 대선 토론서 ‘여성 신체’ 발언 파문…여성본부 “즉각 사퇴하라”
  • 中언론, 韩극우 향해 직격탄 “반중은 자충수”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세계 과반수 항공기 조종사 실업, 휴직 또는 타 업종에 종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