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美, 북유럽에 계란 지원 요청…무역장벽·지정학적 갈등 '난관'

  • 허훈 기자
  • 입력 2025.03.16 10:0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미국이 최근 북유럽 국가들에 계란 수출 지원을 요청했으나 복잡한 무역 장벽과 지정학적 긴장으로 협력에 적신호가 켜졌다. 15일(현지시간) 핀란드 방송사(YLE)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는 미국 농무부(USDA)로부터 계란 공급 협력 요청을 공식 접수했으나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한 것으로 전해졌다.


1985.png

 

이번 협력 요청은 2022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인한 미국 내 계란 공급 차질이 직접적인 배경이다. 지난해까지 미국에서는 AI 감염으로 인해 약 1억 1,600만 마리의 산란계가 폐사 처리됐으며, 이에 따라 계란 생산량이 급감했다. 미국 농무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2월 기준 대형 A등급 계란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59% 폭등했고, 3월 초에는 12개입(1다스) 기준 8.15달러(약 1만 1,000원)라는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소비자와 식품업계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미국 농무부는 자국 내 공급난을 해결하기 위해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에 긴급 수출 협력을 요청한 상태다. 그러나 북유럽 측은 "실질적 도움이 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덴마크 계란 협회 위원장 요르겐 라르센(Jørgen Larsen)은 "미국으로부터 향후 6개월간 수출 가능량 평가를 요청하는 서신을 받았다"고 확인했으나, 핀란드 가금류 협회 사무총장 빌라 레흐티매키(Ville Lehtimäki)는 "핀란드 산란계는 400만 마리뿐으로 미국 결핍분을 메우기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스웨덴 최대 계란 공급사 '크라운 에그(Crown Egg)' CEO 막스 린드스트룀(Max Lindström)도 "미국 측과 접촉했으나 유럽 역시 계란 부족 사태를 겪고 있어 내수 공급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덴마크 공영방송 DR은 "북유럽 국가들의 계란 생산량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대서양 횡단 무역에는 추가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계란 생산 기준이 달라 상호 거래가 어려운 점이 문제로 꼽혔다. 미국은 계란의 세척과 냉장 보관을 의무화하는 반면, EU는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상온 유통을 허용하는 등 규정 차이가 크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19년 덴마크에 그린란드 매각을 요구하며 불거진 외교 마찰과 최근 관세 부과 논란 등이 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까지 북유럽 3국 중 미국에 계란을 수출하기로 공식 확정한 국가는 없다. 전문가들은 "북유럽이 수출에 동의하더라도 검역 증명서 발급, 미 식품의약국(FDA)의 현지 검사 통과, 긴 운송 기간 동안의 신선도 유지 등 현실적 난관이 많을 것"이라며 "단기적 해결책보다는 미국 내 생산 회복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한편, 미국 농무부 관계자는 "글로벌 협력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고만 밝혔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美, 북유럽에 계란 지원 요청…무역장벽·지정학적 갈등 '난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