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미국발 '관세 쇼크'…중국 34%·베트남 46% 등 고율 관세 직격탄

  • 허훈 기자
  • 입력 2025.04.04 20:5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미국이 100여 개국에 대한 신규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면서 전 세계 무역시장에 충격파가 퍼지고 있다. 백악관은 지난 3일(현지시간) 캐나다·멕시코와의 CUSMA 무역협정 적용 품목을 제외한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조치는 4월 9일부터 즉시 시행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 주도의 이번 관세 정책은 특히 '최악의 규정 위반국'으로 지정된 60개국에 추가 '상호 관세'를 부과해 주목받고 있다. 해당 국가들은 미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적용하거나 통화 조작, 비관세 장벽 등 무역 제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지목됐다. 이중에서도 남아프리카의 소국 레소토는 무려 50%의 고율 관세를 적용받게 됐는데, 이는 미국 대비 84.6대 1에 달하는 극심한 무역적자와 남아프리카 관세동맹(SACU)의 공동세율 체계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96.png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분석한 '최대 타격 5개국' 목록에는 중국이 단연 눈에 띈다. 세계 2위 경제대국인 중국은 미국에 연간 4400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수출하며 미국의 최대 무역적자 요인으로 지목됐다. 34%의 관세율이 적용되는 중국은 전자제품, 기계류, 소비재 등을 주요 수출품으로 꼽힌다. 


유럽연합(EU)은 독일·아일랜드·이탈리아를 중심으로 20% 관세를 부과받게 되며, 특히 자동차 부문에서 10%의 최혜국 대우(MFN) 관세를 적용해 온 것이 트럼프 측의 비판을 받았다. 스위스는 미국에 백신·혈액제제 등 의약품을 집중 수출하면서 385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 31%의 보복관세 대상이 됐다. 


동남아시아의 신흥 공급망 허브인 베트남은 미국 수출의 30%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46%의 관세가 적용되는 이 나라는 방송장비, 컴퓨터, 가구 등을 주력 수출품으로 삼고 있으며, 미국과의 무역적자가 1240억 달러에 달하는 것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과 맞물려 향후 국제무역 지형에 중장기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신흥경제국들의 대미 수출 전략 전환 압력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미국발 '관세 쇼크'…중국 34%·베트남 46% 등 고율 관세 직격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