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속 中, 미국산 LPG 수입 대체 움직임 가속화

  • 화영 기자
  • 입력 2025.04.25 22:1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에 대응해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과 희토류 수출 규제에 이어 액화석유가스(LPG) 공급선 다변화를 추진하면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중국으로 향할 예정이던 미국산 LPG 운반선 7척이 최근 인도와 동남아시아로 경로를 변경했으며, 중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 중동 국가로부터의 수입을 확대하고 있다.


4.png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에 이어 미국산 LPG 두 번째로 큰 수입국이다. 중국 관세총국 통계에 의하면, 2024년 중국의 LPG 수입량 3,568만 톤 중 1,800만 톤(50.5%)이 미국산으로 집계됐다. 이는 중국 석유화학 산업이 미국산 LPG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반면, 미국 내에서는 LPG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되며 기업들이 중국 시장을 통해 재고를 처리해온 구조를 반영한다.


에너지 분석기관 이스트 데일리 애널리틱스의 줄리언 렌턴 분석가는 "하루 40만 배럴에 달하는 대미 수입 물량을 다른 시장으로 전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시장 재편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선박 컨설팅사 드루리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조치로 미국 내 LPG 터미널 확장 사업 지연과 재고 증가가 발생할 경우, 생산업체들은 가격 인하나 생산 축소를 통해 대응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 내 중동산 LPG 선물 가격은 현물 대비 톤당 30~60달러 프리미엄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기존 20~30달러 수준에서 크게 확대된 것으로, 무역 갈등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로 중국의 대미 LPG 수입이 다시 급감할 경우 중동 공급 확대와 더불어 인도·인도네시아·일본·한국 등이 미국산 저가 제품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이 미국의 무역 압박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에너지 분야에서의 공급망 다변화 전략이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새로운 균형점 모색이 예상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중 간 에너지 무역 구조가 중장기적으로 재편될 것"이라며 "이번 사태가 양국 간 공급망 재구성 추진에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미중 무역 갈등 속 中, 미국산 LPG 수입 대체 움직임 가속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