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미중 간 무역 갈등 완화 움직임 속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철회 결정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5월 10일부터 1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중미 경제무역 고위급 회담에서 양측은 90일간 관세 조치 중단과 115%의 관세 인하에 합의했다. 글로벌 시장은 이번 성과에 대해 실질적 진전으로 평가하며 미국 수입업체들의 발주 증가와 해운 수요 급증을 예상하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14일 백악관 관계자들을 인용해 "트럼프 측근들이 지지기반 붕괴를 경고하며 관세 완화를 설득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초기 관세 유지 입장을 고수했으나 주요 지지층인 블루칼라 노동자들과 대기업, 정치 동맹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입장을 바꿨다는 것이다. 특히 항만 노동자와 트럭 운전사들이 관세 부담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며 불만이 고조되자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과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등 측근들이 "지지기반 상실"을 경고했다고 전해졌다.
중국의 단호한 대응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을 뛰어넘은 요인으로 분석됐다. 미국 주요 유통업체와 자동차 제조사들이 관세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경고하며 반발했고, 공화당 내 우호 세력들까지 정책 비판에 나섰다. 마이론 브릴리언트 올브라이트 스톤브리지 그룹 수석고문은 "정치·경제적 비용을 고려할 때 트럼프의 양보는 합리적 판단"이라고 평가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의 급변하는 무역 정책이 초래한 혼란을 집중 조명했다. 취임 이후 50건 이상의 관세 정책 변경을 단행하며 주간 단위로 행정명령을 발표했으나, 콜롬비아 상품 관세처럼 1주일 만에 철회되는 등 정책 지속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다트머스 대학의 더글러스 어윈 경제학자는 "역사상 최단기간 내 가장 빈번한 정책 변동"이라며 "기업과 시장의 압력에 따른 결과"라고 진단했다.
현재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7.8%로 트럼프 집권 전보다 15.4%p 상승했다. 이는 1934년 이후 최고치다. 예일대 버짓 랩 연구에 따르면 현행 관세 체계가 미국 일반 가정에 연간 2,800달러의 추가 부담을 초래할 전망이다. 미국기업연구소(AEI)의 마이클 스트레인 경제학자는 "관세 인하 기쁨 뒤엔 실질적 효과가 없는 정책 실패가 도사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공화당 전략가 더그 헤이는 "경제 문제에서 트럼프의 후퇴는 이례적인 사례"라며 "지지율 하락을 감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추가 관세 강행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중국과의 추가 무역 마찰보다 국내 경제 안정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트럼프의 관세 재부과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美 알래스카 호텔서 美·러 정상회담 기밀문서 발견…일정·좌석표·선물 내용까지 노출
-
트럼프·푸틴, 알래스카서 3시간 회담…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합의’는 불발
-
트럼프, 알래스카서 ‘최고 예우’로 푸틴 영접 예정
-
멕시코, "미군 개입 절대 용납 못해" 주권 수호 의지 재확인
-
"상응관세" 글로벌 무역 지도 재편, 세계 경제 "탈미국" 가속화
-
“기술 유출 걱정하다 추월당했다”… 美 화이자 CEO, 中 바이오 굴기에 경고
-
“희토류로 중국에 도전?”…美, 수십 년 뒤처진 현실만 확인
-
뉴욕증시 급등…다우 585포인트 상승, 연준 금리인하 기대 반영
-
플로리다 '악어 교도소', 미국의 불편한 진실
-
'허공의 고속철' 꿈 좌초…캘리포니아 프로젝트로 본 美 인프라의 민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