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략의 상처, 배상 대신 수교를 택한 중국
[동포투데이] 중국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 요구를 최종적으로 포기했다. 단순히 ‘포기’라는 사실 뒤에는 국제정세 변화, 미국과 일본의 전략적 이해관계, 국내 정치의 전환 등 복합적인 요인이 얽혀 있다.
청일전쟁 이후 청 정부는 일본에 순은 2억3천냥의 배상을 지급했다. 일본은 이를 토대로 중공업, 군수산업, 교육 등 산업 기반을 확충하며 장기적 발전을 도모했다. 그러나 1930~40년대 일본의 침략 전쟁은 중국 국민에게 깊은 상처와 피해를 남겼고, 국제법과 관례상 일본은 이에 대한 배상 의무를 져야 했다.
전후 상황에서 미국은 일본 문제를 주도하며 배상 절차를 사실상 독점했다. 1945년 중·미·영 3국이 발표한 ‘포츠담 선언’은 일본 배상의 원칙을 명시했지만, 미국은 자국 전략에 따라 배상 범위를 축소했다. 중국은 초기 ‘선기 철거’ 계획에 따라 일본 산업 시설의 일부를 배상 물자로 받기로 했으나, 실제로는 전체 손실 620억 달러에 비해 약 2,250만 달러만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이는 전체 피해액의 0.03%에 불과했다.
국민당 정부의 태도 변화도 배상 포기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1949년 중국 내 전쟁 상황이 공산당 승리로 기울자, 국민당은 대만으로 철수했다. 미국의 지원과 국제사회에서 ‘중국 합법 정부’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대만 당국은 일본 배상 요구를 사실상 접었다. 1952년 체결된 ‘일화조약’에서 전쟁 배상 문제는 완전히 배제됐다.
공산당 정부는 1970년대 국제전략 환경을 고려해 전후 배상 문제를 포기했다. 1971년 중국이 유엔에서 모든 합법적 권리를 회복하고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를 확보한 뒤, 미국과 일본의 정책 변화가 이어졌다. 미국은 중국과 외교 관계 수립을 추진하면서 일본의 경제적 부담을 조절했고, 일본 내 정치 세력도 중일 수교를 향해 움직였다.
중국 정부는 중일 수교를 앞두고 전후 배상 요구를 포기함으로써 일본 국민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지 않으면서도 외교적 관계 정상화를 꾀했다. 1978년 체결된 ‘중일 평화우호조약’과 함께 1,200억 달러 규모의 국가 간 배상 요구는 공식적으로 철회됐다.
그러나 일본 군국주의 전쟁 범죄로 인한 개인 피해 배상 요구, 즉 약 1,800억 달러 규모의 국민 배상 요구는 여전히 유보 상태다. 이는 국제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향후 일본에 피해 배상을 요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 조치로 평가된다.
이번 사례는 국가 차원의 전략적 판단과 국제정치 현실이 국민적 정의 실현과 어떻게 충돌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남는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
-
日 우익, “중국의 반일감정은 공산당 조작” 왜곡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