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2025년 노벨 경제학상이 ‘혁신이 주도하는 경제성장의 원리’를 규명한 세 명의 경제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13일(현지시각) 올해 노벨 경제학상(정식 명칭: 스웨덴 중앙은행 알프레드 노벨 기념 경제학상) 수상자로 조엘 모키르(Joel Mokyr), 필리프 아지옹(Philippe Aghion), 피터 호위트(Peter Howitt)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왕립과학원은 “이들의 연구는 기술혁신이 어떻게 장기적 성장의 동력이 되는지를 이론적으로 해명했다”며 “혁신을 촉진하는 제도와 지식의 축적이 경제 번영의 핵심임을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이번 상금의 절반은 기술 진보를 통한 지속적 성장의 조건을 규명한 공로로 모키르에게, 나머지 절반은 ‘창조적 파괴’를 통해 성장 과정을 설명한 아지옹과 호위트에게 공동으로 돌아갔다.
1946년생인 조엘 모키르는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로, 18~19세기 유럽 경제사를 중심으로 기술 발전과 실용 지식의 전파 과정을 연구해왔다. 그는 산업혁명이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니라, ‘지식의 문화적 확산’이라는 사회적 기반 위에서 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모키르는 현재 유럽 사회에서 기술 진보가 어떻게 경제적 번영으로 이어졌는가, 산업화가 인간의 복지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핵심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필리프 아지옹은 프랑스 콜레주 드 프랑스와 유럽경영대학원(INSEAD), 런던정치경제대(LSE)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피터 호위트는 미국 브라운대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두 사람은 1990년대 초 ‘슘페터식 성장 패러다임(Schumpeterian Growth Paradigm)’을 제시해, 혁신이 기존 산업을 파괴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과정을 수학적 모형으로 정립했다. 이 이론은 정부의 성장정책 설계와 혁신 촉진 전략의 기초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노벨 경제학상은 거시경제의 새로운 접근을 모색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2024년에는 MIT의 다론 아제모글루, 사이먼 존슨, 시카고대 제임스 로빈슨이 ‘제도의 형성과 번영의 관계’를 규명한 공로로 수상했다. 2023년에는 하버드대의 클라우디아 골딘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성별 임금격차 연구로 단독 수상했으며, 2022년에는 전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벤 버냉키를 비롯한 3명의 미국 경제학자가 금융위기와 은행 시스템 연구로 상을 받았다.
노벨 경제학상은 1968년 스웨덴 중앙은행이 노벨을 기리기 위해 제정했으며, 1969년부터 매년 수여되고 있다. 2024년까지 총 56회 시상됐으며, 96명의 수상자 중 여성은 단 3명에 불과하다. 역대 최연소 수상자는 2019년 당시 46세였던 MIT의 에스테르 뒤플로, 최고령 수상자는 2007년 90세로 수상한 레오니트 후르비였다.
경제학계에서는 이번 수상에 대해 “기술혁신과 제도, 인간의 창의성을 성장의 핵심 축으로 통합한 연구가 정당한 평가를 받았다”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모색하는 오늘의 세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고 평가했다.
BEST 뉴스
-
韩 전문가들 “반중 집회, 국익 해친다”…미국과 힘겨운 협상 속 대중 관계 관리 절실
[동포투데이] 한국 사회에서 반중(反中) 정서가 격화되면 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 힘겨운 협상을 이어가는 만큼, 이런 집회가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한국 전문가들의... -
2025 카시아 문교협국제무용콩쿠르 성료
[동포투데이] 문화체육관광부 공익법인 사) 한국문화예술국제교류협회(이사장 장유리, 대회장 이기수))가 주최한2025 카시아 문교협국제무용콩쿠르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이번 대회는 국내외 다양한 참가자들이 전통과 창작, 클래식과 현대를 넘나들며 수준 높은 기량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번 대회는 9월 6... -
“거절했을 뿐인데”…홍대서 중국인 여성 인플루언서 폭행
외국인 여성 잇단 피해, 경찰 대응 ‘뒷짐’ 논란 서울의 대표적 관광·문화 거리로 꼽히는 홍대. 지난주 이곳에서 발생한 한 폭행 사건은 단순한 주취 난동이 아니었다. 피해자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팔로워 46만명의 여성 인플루언서 류리잉(刘力颖) 씨였다. 그녀는 단지 원치 않는 접촉을 거절했을 뿐인데, ... -
美, ‘비밀 프로젝트’ 25종 신형무기 개발?…中 겨냥한 억제 전략 논란
[동포투데이] 베이징 열병식이 끝난 직후, 러시아 매체가 흥미로운 보도를 내놨다. 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무려 25종의 신형 무기를 비밀리에 개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규모만도 108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770억 위안에 이른다. 러시아가 지목한 것은 ‘SHOTCALLER’라는 이름의 비밀 프로젝트다. 미국 국방부가 인... -
민주당 “나경원 의원, 법사위 아닌 법정에 서야”
[동포투데이]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선임을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은 15일 김현정 원내대변인 명의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나경원 의원이 있어야 할 곳은 법사위가 아니라 법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검찰은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과 관련해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
한·중 기자단 6년 만의 상호 교류…APEC 정상회의 준비 현장 찾는다
[동포투데이] 중국 주요 언론사 기자들이 6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 외교부는 14일 “9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유력매체 기자단이 방한해 ‘한·중 기자단 교류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방한하는 기자단은 신화사, CCTV, 인민일보, 환구시보 등 중국을 대표하는 언론사 소속으로 꾸려졌다. 이들은 서울에서...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중국을 돕고 싶다” — 트럼프, 무역전쟁 속 이례적 ‘유화 메시지’
-
“혁신이 성장의 원동력” — 2025년 노벨 경제학상, 모키르·아지옹·호위트 3인 공동 수상
-
트럼프 “11월 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0% 추가 관세 부과”… 미·중 무역전쟁 다시 격화
-
북 열병식, ‘화성-20’ 첫 공개… 김정은 “무적의 힘으로 위협 제거”
-
“트럼프의 숙원 올해도 무산” — 노벨평화상, 베네수엘라 마차도 수상
-
“‘국내 대신 해외로’… 여행 소비 지형 바꾸는 중국의 황금연휴”
-
시진핑, 노동당 창건 80주년 맞아 김정은에 축전
-
“전통 우의, 새 시대 협력으로” — 리창·김정은 평양 회담에서 조중관계 강화 약속
-
헝가리 작가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2025년 노벨문학상 수상
-
외국인 3,500만 명 몰린 중국, 여전히 ‘30년 전 여행’의 불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