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설산에서 발원되어 고원을 날아 넘고 협곡을 꿰지르며 만 리를 흐르는 호호탕탕한 중국의 장강(长江), 멀고도 기나긴 흐름으로 중화문명을 잉태한 장강이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장강에 의해 형성된 이 지대의 경제벨트는 마치도 꿈틀대는 ‘거룡’마냥 독특한 우세와 거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위성을 통한 영상 및 데이터의 분석에 따르면 장강은 말 그대로 중국의 동서를 가로지르며 비약하는 ‘거룡’이었다.
중국 대지의 ‘골든 벨트’인 장강은 중화민족의 ‘어머니의 강’이었고 중화민족 발전의 받침 주였으며 중국 인민의 특수한 문화와 감정을 담고 있는 강이었다.
중국 대지의 ‘골든 벨트’
중국 제일의 대하로서의 장강은 그 길이가 6300킬로미터로 중국의 서쪽으로부터 중 하부를 관통하는 수로 교통의 대 통로로 이 유역의 종합운수 시스템 중 중요한 위치를 갖고 있으며 강 연안의 경제발전 중 중요한 받침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
장강에 의해 형성된 장강 경제벨트는 상해(上海), 강소(江苏), 절강(浙江), 안휘(安徽), 강서(江西), 호북(湖北), 호남(湖南), 중경(重庆), 사천(四川), 귀주(贵州)와 운남(云南) 등 연안의 11개 성과 직할시가 포함되며 면적은 205만 평방킬로미터로 인구와 GDP 총량은 전반 중국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 갈래 광활한 장강 경제벨트는 바로 이렇게 형성되어 있다.
거대한 ‘경제벨트’에 시동을 거는 엔진
이 한 갈래의 ‘골든 수로’에 의거, 장강 경제벨트는 동에서 서에로, 연해에서 내지로 즉 상해를 용두로 장강삼각주 지구에서 시작하여 중도에서 완강(皖江) 도시 벨트, 파양호(鄱阳湖) 도시군, 무한(武汉) 도시군, 장 주담(长株潭) 도시군을 주체로 장강 중류의 도시군을 에돌아 장강 상류의 청 위(成渝) 경제구에 가닿는다.
장강 벨트의 야광도를 보면 이 지구의 발전 수준을 직접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야광이 밝을수록 이는 이 지구의 경제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하다면 장강 경제벨트 구역의 경제발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다원화의 문화, 번창하는 교육과 인재의 집중
중국 최대의 도시 상해를 중심으로 수 십 개의 대도시, 특대 도시가 명주처럼 장강 연안에 모여 있어 장강 벨트는 중국 경제발전의 수준이 최고에 이르며 종합경쟁력이 최강인 경제벨트와 중국 경제발전 전반 국면 중 중요한 받침대로 되고 있다.
3개의 도시권, 3대의 증장급(增长极)이 벨트 내에 이어져 구역 경제발전이 승수급(乘数级)으로 상승하는 국면이 나타났다. 2019년 장강 경제벨트 지구의 생산총액은 45억 7805위안으로 2018년 대비 6.9% 증장했으며 전국 경제총량의 46.2%를 차지했다.
2019년 장강 경제벨트 11개 성과 직할시의 GDP
2020년 전 3 개 분기 중국 도시 GDP의 앞자리 10강 중 장강삼각주 경제벨트 내 도시가 7개가 차지, 장강 경제벨트가 중국 경제에서의 받침대 작용이 날로 돌출하게 나타났다.
한 갈래 맑은 물의 ‘생태벨트’
새 중국의 창립 이래 특히는 개혁개방 이래 장강 유역의 경제사회가 신속하고도 거룩하게 발전해왔다. 하지만 장기간 주먹구구식으로 발전만 강조하면 장강에 대한 부담과 압력이 클 수밖에 없었고 생태환경의 보호와 복구 또한 더 이상 늦출 수 없었다.
최근년 들어 장강에 대한 보호와 복구 사업이 부단히 새로운 진전을 가져왔고 생태환경 돌출 문제의 해결 효과가 현저했으며 양안의 녹색생태 갤러리(廊道)가 기본상 형성, 생태보호의 체제 기제가 공동 관심하고 부단히 건전하게 되었다.
엄중하게 혹사당하던 ‘어머니의 강’ 드디어 숨 돌릴 기회가 생겼다
경항 대운하(京杭大运河)와 망도하(芒稻河) 합수목에 위치한 장두수리중추(江都水利枢纽)는 남수북조 동선공사의 발원지이다. ‘일강 청수 북송(一江清水北送)’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저우(扬州)에서는 남수북조 발원지의 생태습지 회복, 임업망 건설 등을 추진, 효과적으로 남수북조 공사를 위해 봉사하였다.
2019년 11월 말까지 장강 경제벨트 우량 수질 비례는 82.5%에 도달, 전국 평균 수준보다 6.1%가 질이 높았고 저 수질 비례는 1.2%밖에 되지 않았으며 남수북조의 맑은 물은 호탕하게 저 멀리 북경(北京), 천진(天津) 등지로 흘러 흘러갔다.
중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가장 발달했으며 종합경쟁력이 가장 강한 국제도시 상해와 장강 삼각도시군 그리고 장강 경제벨트는 중국에서 가장 중심 위치에 있고 그 위치적 우세가 가장 큰 경제벨트이다.
새로운 발전의 여정에 오른 장강 경제벨트는 긍정적으로 그 면모가 새롭고도 몰라보게 변할 것이며 에너지가 거대한 ‘거룡’이 되어 중국경제로 하여금 고차원 발전에로 이끄는 활력소로 되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다.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갯벌 고립 중국인 노인에 구명조끼 내준 해경, 끝내 순직
△해양경찰관 고 (故)이재석 경사. 인천해경 제공 [동포투데이] 인천 앞바다에서 고립된 중국인 노인을 구하려던 해양경찰관이 끝내 순직했다. 위험에 처한 이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건네고 물살에 휩쓸린 그는 몇 시간 뒤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영... -
이재명 대통령 “명동 혐중 시위, 표현의 자유 아닌 깽판”
[동포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오후 국무회의에서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중 집회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해당 집회를 “관광객을 모욕하는 깽판”으로 규정하며, 단순히 ‘표현의 자유’로 치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외국에 가서 ‘어글리 코...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뉴욕 맨해튼에는 '간세부르트 페닌슐라' 해변 (사진/중국신문망 랴오판 제공) [동포투데이] 미국의 강화된 입국 규제가 외국인 관광객을 발길을 돌리게 하면서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중국신문망 보도에 따르면, 2025년 1~7월 미국을 찾은 해외 관... -
“임금 떼먹기, 여전히 심각”…올해 피해 노동자 17만 명 넘어
[동포투데이] 노동자의 땀과 삶을 갉아먹는 임금체불이 여전히 근절되지 못한 채 반복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17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제때 임금을 받지 못했고, 체불액은 1조 3400억 원을 넘어섰다. 체불 피해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서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대도시의 고용구조 불안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성매매 직전 50대 남성 돌연사…유족 2억6천만원 배상 청구
-
APEC 계기, 이재명-시진핑 한중 정상회담 조율 중
-
이재명 “한국, 미·중 사이 교량 역할”…실현 가능성은 숙제
-
中 관영매체 “韓 총리, 필요 시 반중 집회 강력 제재”
-
홍콩서 65kg 황금 대형 강도 사건 발생…경찰, 용의자 7명 체포
-
중국 외교부 “황옌다오, 중국 고유 영토…필리핀 항의 수용 못해”
-
김정은, 건국 77주년 기념사…“조선의 지위와 안전은 절대 불가침”
-
김정은, 중국 방문 마치고 귀국…“중국의 성의에 감사”
-
中 공안, ‘9·3 열병식’ 비방 40대 네티즌 구금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