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4(수)
 


■ 연변 리포터 김철균

 

불현듯 “조물주”가 참 위대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선 우리 인간을 놓고 보더라도 머리 하나에 눈, 귀, 코구멍이 각각 둘 씩이고 몸뚱아리에도 손 둘, 발 둘 등으로 대칭되니 얼마나 기묘한가?! 또한 인간 몸뚱아리의 둘 씩 있는 이 물건은 이렇게 서로 대칭되면서도 “상부상조”한다. 예하면 바줄을 당길 때 두 손은 엇바꿔 바줄을 쥐며 힘을 가하고 길을 걸을 때 두발 또한 엇바꿔 내디디면서 앞으로 전진하며 두 귀와 두 눈 역시 각각 오른 쪽 혹은 왼 쪽의 사물과 소리를 분별하며 보고 듣고 하기도 한다. 그럼 세상만물이 처음부터 이렇게 됐을까? 아니라는 생각이다. 생존을 위해 진화되면서 인간의 오늘도 이렇게 된것이라 점치게 된다. 그럼 우리의 옛조상 할아버지들인 유인원이 오늘의 인류로 되기까지는 수천수만갈래의 진화를 거쳤을 것이며 현재의 우리의 삶 역시 계속되는 진화속에 있을 것이 아닐까?


가령 그것이 맞다면 현재 우리가 생존을 위해 분투하는 것이나 또 다른 삶의 형태인 취미 - 즉 요즘의 유행어로 말한다면 레저생활도 진화과정의 일종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하다면 나 역시 뭇인간들처럼 무수한 진화속에서 오늘의 내가 “창조”됐다고 터놓고 싶어진다.


지난 세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만 해도 비록 형수님의 슬하에서 자랐지만 별로 생활적 압력을 느끼지 못하고 살아왔다. 헌데 내가 뭐 다혈질인지는 몰라도 취미가 좀 다각적인 것 같았다. 뭐든지 하고 싶으면 하는 성질이었다. 동관악기인 트롬베트를 전공해 음악가로 되고 싶었고 미술을 전공해 멋진 화가로도 되고 싶었다. 또한 사내애면서도 부뚜막일에 각별히 집착했던 모양이던지 형수님이 뭘하면 그 모양새를 따느라고 무척이도 신경을 썼다.


한번은 형수님이 계란에 부추를 섞어 볶았는데 나도 그대로 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어느날 형님과 형수님이 퇴근하기 전에 일찌감치 계란을 먼저 볶아내고는 부추를 함께 넣었다. 헌데 암만 봐도 물이 적은것 같아 물을 좀 넣었더니 글쎄 부추란 야채에서 물이 나오면서 계란부추요리인 것이 아니라 계란부추국이 돼버렸다…


내가 이렇게 부지런하다고 하면 남들은 혹간 공부도 잘했으리라 여길 것이다. 허나 천만에다. 한번은 화학시험을 57점을 맞아 형한테 야단맞은 적도 있었으니 어느 정도인 것을 알 것이다. 또 있다. 사내로서 밖에서 뛰여다니고 망치를 쥐고 뚝딱거리며 못이나 박는 일은 죽도록 질색이었다. 그러니 취미가 다 방면이란 것도 새빨간 거짓말로 되고 있다.


그건 그렇고 한편 내가 공부는 하지 않고 엉뚱한 곳에 자꾸 신경을 쓰니 형님은 “누가 네가 해주는 음식을 먹자고 하던?”라고 하며 공부만 하라고 강요해댔다. 헌데 들을 놈이 들어줘야지 형님도 용빼는 수가 없었다. 나중엔 형님도 “어쩔수 없어 지금이 어디 공부를 하는 세월이라구. 공부를 잘해도 대학에 못가겠는데 뭐” 하면서 포기했다. 그러니 난 제딴에는 형님이 나의 취미를 인정해 주는 줄 알고 더욱 외딴 일에 열을 올렸다. 그림을 그릴라치면 밤이 새도록 도화지를 펴놓고 이른바 “초상화”를 그린다 했고 트럼베트를 불라치면 윗 입술이 터져 피가 흐르도록, 동네방네서 귀를 막고다니도록 불어댔으며, 또한 영화(당시는 TV가 없었음)에서 식당요리사들이 채써는 걸 보고서는 그대로 잽싸게 칼질을 해대느라 흉내내다가 칼에 손을 벤적도 한두번이 아니었다.


하긴 지금은 딱히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당시 나한테도 이른바 이상과 개성이란 것이 있는 것 같았다. “남들이 다 하는걸 하면 성공하기 어렵다”, “악사나 화가는 멋지고 요리사는 잘 먹을 수 있다” 등등으로 말이다. 헌데 나는 그중 아무것도 성공하지 못하고 오늘날 요꼴, 요모양이 됐다. 후회되는가? 그런 것도 없다. 오히려 취미가 여러 종이 되니 써먹을 곳이 많아 좋기만 하다. 예하면 내가 소고기 꽃등심으로 불고기를 하거나 생신한 꽃게를 갖고 무침을 해서 남들한테 선보였을 때 그들이 맛있게 먹어주면 그 이상 즐거운 일이 없었다. 또한 어린 딸애한테 가요 “아리랑”, “고향의 봄” 등을 오선보로 일필휘지해줬더니 딸애가 눈이 동그래졌으며 딸애학교에서 부모와 함께 제작하라는 소제작작품을 만들 때, 그제날 내가 타던 선박 “코리안스타”호를 모양내서 만들어 줬더니 뭐 주급이란던지 국가급이라던지 하는 상도 탔단다. 그외 현재 내가 기자이니 딸애의 작문지도는 더 말할 것도 없다.


한바탕 제자랑을 늘여놓았더니 어쩐지 좀 게면쩍기도 하다. 평생 반장 한번 해보지 못한 놈이 자랑은 무슨 개떡같은 자랑인가! 하지만 사람마다 다 있는 것이 아닌 이런  “재간”이 있으니 큰 전문가는 되지 못해도 밑바닥 인생으로 살아 가기에는 이전엔 별로 거침이 없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또 이한 모든 것도 내가 처음부터 알고 있은 것이 아니라 이른바 노력하는 “진화속”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생각하니 더욱 그렇다. 취미로 익히고, 살아가기 위해 배우고, 또 자랑하기 위해 숙련시키고 말이다.


화제는 다시 서두로 돌아간다. 내가 이렇게 저렇게 몇가지 취미가 있다면 어떤 어르신들은 참 별난 취미생활이 있는 것 같다. “조물주”가 만들어준 건강하고 영활한 몸뚱아리와 총명한 영혼을 별로 좋은 일에 쓰는 것 같지를 않고 있다. 국녹을 타먹는 이가 절로 인생을 개척하는이를 보고 무능하다고 비웃는가 하면 남을 헐뜯는데도 재간이 가지각색이다. 남이 일을 잘하면 그 사람을 라이벌로 여기면서 헐뜯고, 남한테 좀 불행이라도 생기면 잘코사니를 부르며, 심지어 남의 아내의 발이 큰 것마저 그런 사람한테는 커다란 “이슈”가 돼버린다. 왜 그렇게 살까? 한편 어떤 사람들은 남을 위해 사는 “재간”은 별로 없고, 자아업무에도 게으르고, 제로(령)이지만 엉뚱한 두뇌는 아주 발달된 것 같다. 사회기반을 만들고 울타리를 두르고 지도자한테 질러주고 여하튼 사교술은 “외교부 장관”의 버금으로 간다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참 이상한 취미, 과연 언제까지 그렇게 살런고?


한편 그런 사람들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가 되기도 한다. 누군가 “강한 사람은 질투를 하지 않는다. 질투하는 사람을 보면 꼭 어딘가 부족하거나 약한 곳이 있다”고 했다. 일리가 있다. 살아야 하니까, 그렇게라도 살아야 하니까, 심리평형이라도 잡아야 하니까 말이다.


인류사회란 모순과 갈등, 사람 사이의 같지 않은 취미에 따라 각종 질투와 오기가 있기 마련이다. 중국이 그런가 하면 외국도 그렇고, 남자가 그런가 하면 여자도 그러하다. 다만 우리가 사는 이 지역사회가 좀 더 심하다고나 할까?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잡문] 세상살이와 취미생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