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중앙기록보관소는 7월 9일 일본 전범 우노 신타로(鵜野晉太郎)의 중국 침략 사실에 관한 친필 자백서 요약 내용을 공개했다.
우노 신타로가 1954년 8월에 쓴 친필 기록에 따르면 그는 1920년 일본 히로시마 현에서 출생했다. 1941년 4~9월에 일본 39사단 232연대 사병으로 중국 후베이(湖北) 한커우(漢口)에 파병됐다가 후에 일본으로 귀환했다. 1942년 4월~1945년 5월에 후베이 232연대에 있었고, 1945년 5월에 232연대 설립 군관을 지내다 같은 해 8월에 소련군에 의해 체포됐다.
중요한 범죄 내용:
1941년 5월 10일 후베이성 징먼(荊門)현 난차오푸(南橋鋪) 북서쪽 30㎞ 지점에서 민가로 침입, 중국 민간인 1명에게서 강제로 솥을 빼앗고 있을 때 2소대 대장 타나카 중위가 다가와 “무엇을 하고 있나”라고 물었다. 그래서 나는 “중국인들이 일본군이 솥을 약탈해 갔다고 말했다”고 대답하자 타나카는 “말을 듣지 않는다면 죽여라”고 명령했다. 타나카가 그 민간인을 총살하게 했다.
1942년 5월 하순, 후베이 중샹(鍾祥)현 궈류(郭劉)만에서 이 마을의 중국 민가 건물 10개(30가구)를 모두 불태웠다. 또, 마을 주민 1명(약 40세 남자)을 신사군(新四軍) 전사의 용의자라는 명목으로 체포하고 내 명령에 따라 분대장 나카타 하사가 물고문한 후 내가 목을 베었다.
1943년 2~3월 후베이성 당양(當陽)현 셴런자이인자(仙人砦尹家) 서쪽에서 소형 붉은색 통과 중형 붉은색 통(모두 분사형 독가스로 방사량은 상세하지 않음)을 방사해 항일군을 혼란에 빠뜨린 후 보총과 대포로 공격해 항일군의 반격을 좌절시켰고 이 기간에 군인 200명을 학살했다.”
1943년 4월 상순 후베이성 이창(宜昌)현 톈바오산(天寶山)에서 8중대는 이 지역을 점령하고 중국 농민 3명(모두 약 25세)을 체포한 뒤 2명을 권총 사살하고 나머지 1명은 당시 8중대와 동시에 철퇴해 온 7중대의 이와히다리 견습사관에 의해 권총 사살됐다. 이후 7중대는 항일 전사 2명과 이 지역 농민 8명을 체포했고, 나는 7중대 사병 4명에게 “거추장스러우니 이들을 죽여라”라고 명령했다. 이들은 2대대 배속 공병중대에 인도된 후 손과 발이 묶인 채 벙커에 던져져 폭탄에 의해 살해됐다.
1943년 4월 하순 후베이성 당양현 야오링바오(窯嶺包)에서 이 지역에서 대퇴부에 부상을 입어 쓰러진 채 고통스러워하고 있는 항일병 1명(약 25세)을 고문한 후, 부하 우메자키 지로 등 보병에게 명령해 그의 두부에 보총을 쏴 사살하도록 했다.
1943년 10월 하순 후베이성 당양현에서 나는 슝자포(熊家坡) 및 이 지역 동쪽의 높은 언덕을 목표로 중형 붉은색 통(분사형 독가스) 50개를 발사했다. 그 결과 이 마을의 민가 건물 약 20개에 거주하는 민간인 100명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
1943년 11월 중순 후베이성 즈장(枝江)현에서 군수 물자를 연결하는 항일군 1명(약 25세, 13사 및 18사 소속)을 체포했다. 그의 손과 발을 묶은 뒤 박격포 탄창 1상자를 등에 고정시켰고, 그 상태로 하천으로 빠뜨려 익사시켰다.
1943년 11월 중순 후베이성 쑹쯔(松滋)현 미지타이(米積台) 남쪽 약 5㎞ 지점의 한 마을에서 이 지역의 중국인 농민 1명(40세)을 고문했으며 물고문으로 인해 사망했다.
1943년 12월 중순 후베이성 즈장현 런허핑(仁和坪)에서 이 지역에 거주하던 중국 농민 1명(약 40세)을 체포했다. 나는 10㎝ 두께의 나무판을 그의 다리 사이에 끼우고 무릎을 꿇게 한 채로 고문했으며, 다시 멜대로 그의 다리와 발을 구타해 그의 무릎 관절이 탈골되어 대퇴골이 부러져 사망했다.
1943년 12월 23일 밤 후베이성 쑹쯔현에서 중국인 민가 건물 총 20개(60가구)를 불태웠다.
1944년 3월 후베이성 당양현에서 부하 하마다 야스오 병장을 시켜 체포된 항일군 스파이 용의자 1명(약 40세)을 허공에 매달아 고문했으며, 그의 양팔 첫 번째 관절 부분의 피부가 파열되자 끌어 내렸다. 군의관 곤도 대위는 감금실에서 끌어낸 그를 검사한 후 “치료 시기가 늦었다”고 보고했고, 나는 “너무 번거로우니 그냥 죽여라”라고 명령했다. 곤도 대위는 그의 팔꿈치 관절 안쪽 정맥에 두 차례에 걸쳐 공기를 주사(100cc주사기)해 살해했다.
1944년 4월 후베이성 당양현 슝자포에서 제1선에서 불법 점령한 각 대대가 체포해 감금 중이던 항일군 5명(약 20세~25세. 37사 및 132사 소속)과 항일군 스파이 2명(약 30세)을 연대장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자살(刺殺) 표적으로 삼아 4중대 신병 훈련에 투입한 뒤 사살했다. 나는 이 훈련에서 직접 1명의 목을 벴다.
1944년 9월 후베이성 당양공항의 북서쪽 코너에서 감금 중이던 항일군 스파이를 처형했으며 나는 칼로 이들 중 1명(약 25세)의 목을 베었다.
1945년 9월 10일 지린성(吉林省) 쓰핑(四平)에서 일본 제국주의가 전쟁에 패한 후 소련군의 관리 하에 쓰핑에서 소련으로 출발하던 당시였다. 트럭으로 짐을 운반하던 중 반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분기한 현지 민간인을 제압하기 위해 내 명령에 따라 사병들은 몽둥이로 중국인 2명을 살해했다.<인민일보> (번역: 김선민 감수: 조미경)
BEST 뉴스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동포투데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 수립 과정에서 국민들의 온라인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이번 의견 수렴 과정을 “전 과정 인민민주주의의 생생한 실천”이라고 평가하며, 각급 당위원회와 정부가 국민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폭넓게 민의...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제11회 발표회(7.14) 전경 (사진제공=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총장 최용주)가 오는 8월 19일 오후 1시, 서울 서대문구 신촌로에 위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동포투데이] 8월 6일 오전,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서는 정적이 흐른 가운데 8시 15분 정각, 평화의 종이 울렸다. 80년 전 같은 시각, 미군의 B-29 폭격기가 ‘리틀보이’라는 이름의 원자폭탄을 투하하며 이 도시는 순식간에 폐허가 됐다. 14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그날의 상흔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
양구서 외국인 노동자 91명 임금 체불…노동부, 전담팀 구성해 조사 착수
[동포투데이] 강원도 양구군 농가에서 일하던 필리핀 국적 계절노동자 91명이 임금을 받지 못했다는 진정이 접수되면서, 고용노동부가 전담팀을 꾸려 조사에 나섰다. 노동부는 이번 사건을 외국인 노동자 대상의 조직적 착취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고용 브로커의 불법 수수료 편취 의혹도 함께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
“가슴의 일장기 지운 언론의 용기”…‘일장기 말소사건’, 8월의 독립운동 선정
[동포투데이]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손기정 선수의 시상식 사진 속 가슴의 일장기를 지워낸 언론의 ‘침묵 없는 항의’가 89년 만에 다시 조명됐다. 국가보훈부는 이 사건을 2025년 ‘8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당시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는 손기정, 남승룡 선... -
튀르키예서 아리랑 울림…K-아트, ‘존재의 초월’로 세계를 품다
▲ 2024앙카라 한국문화원 전시관련 자료 사진 [동포투데이]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를 세계 무대로 확장할 기념비적인 시도가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베일을 벗는다. 오는 8월 8일부터 한 달간 주튀르키예 한국문화원에서 열리는 특별 기획전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푸틴, 4일간의 중국 방문…“이례적 장기 체류”
-
中, 9·3 열병식 카운트다운…고초음속·무인 첨단무기 공개 임박
-
푸틴,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 참석 위해 중국 도착
-
시진핑, 유엔 사무총장 접견…“다자주의와 국제 협력 강화해야”
-
연변 제23회 주운동회 개막… 국경 도시 가득 메운 함성
-
“연길, 세계 최대 실내 디지털 골프장 개장…동북아 스포츠·관광 허브 도약”
-
장백, 산과 강이 들려주는 조선족의 이야기
-
“연변 조선족민속원, 중국 비물질유산 관광 우수사례에 선정”
-
외국인 관광객, ‘중국 미래 도시’ 체험 열풍
-
시진핑·푸틴·김정은, 이례적 한자리에…“북한 외교 노선 변화 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