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전체기사보기

  • 소가죽 한장의 전설 - 간도일본총영사관
    ▲ 간도일본총영사관 유적지 [동포투데이] 기유년에 생긴 일이다. 일제는 청정부를 윽박질러 용정에 총영사관을 세우기로 했다. 그런데 지을 바에는 크게 지어 한치라도 중국 땅을 더 삼키고 싶었던 영사는 못된 궁리를 꾸며냈다. 일본영사는 국자가에 자리 잡고 있는 청나라 도태부에 있는 윤대인을 만났다. 웃음 속에 칼을 품고 있는 일본영사는 속으로 엉큼한 생각을 하면서도 겉으로는 웃음을 살살 발라가면서 예절스럽게 말했다. “대인도 알다 싶이 우리 두 나라는 자고로 친선적인 이웃이였지요. 내 오늘 대인과 이렇게 자리를 같이하고 나라의 일을 담론하게 되였은즉 그 영광이 하늘에 미치오이다.” “그런데 무슨 일로 찾아왔소?” “귀 정부에서 용정에 우리 총영사관을 두기로 하지 않았소이까.” “그런데?” “영사관원들이 당도하였는데 있을 곳이 없어 걱정이옵니다.” “허허. 나라에서 승낙한 일인데 있을 곳이 없다니 당치도 않은 소리요. 대체 얼마나 큰 집을 세우려 하시오?” 때가 되였다고 생각한 영사는 속으로 너털웃음을 지으면서도 겉으로는 빌붙는 체했다. “우리는 본디 바다 한가운데 사는 소국사람들이라 욕심 부릴줄 모르웨다. 그저 영사관을 지을 터자리로 소가죽 한장 만큼한 땅만 떼여주면 족하옵니다.” “뭐라오? 소가죽 한장 만큼한 땅이랬소?” “예. 소가죽 한장 만큼한 땅이랬소이다. 그만큼하면 족하옵지요.” 아무리 큰 소라도 가죽을 벗겨놓으면 큰 구들에 절반도 펼가 말가 하겠는데 영사관을 지을 자리를 소가죽 한장 만큼 달라니 도대체 무슨 꿍꿍이인지 알 수 없었다. 제 귀를 의심하여 다시 한번 물었지만 그 소리가 그 소리인지라 윤대인은 속으로 소국놈은 소국놈이로구나 하고 비웃으면서도 꼭 간특한 계교가 있을 것 같아 일본영사를 피하라 하고는 관원들을 불러놓고 전후사실을 말했다. “그 자들로 하여금 집을 지으라고 하십시오. 소가죽 한장 만큼한 땅에 집을 짓지 않고 좀이라도 우리 땅을 점하는 날엔 혼쌀을 먹여줍시다”. 한 관원이 이렇게 말하자 모두들 그게 좋겠다고 한물곬을 팠다. 일은 쉽게 낙착되여 일본영사는 물러갔다. 그런데 그 때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일제가 용정에다 으리으리한 총영사관을 지었다는 소문이 윤대인의 귀에까지 들려왔다. 윤대인은 노기충천하여 닫는 말에 채찍을 갈기면서 용정으로 달려갔다. 도착해보니 과연 높다란 담장이 빙 둘러있는 속에 커다란 층집들이 우뚝우뚝 솟아있었다. “이것이 그래 소가죽 한장 만한 땅이란 말인가? 그대들은 언약도 없고 국제공약도 없단 말인가?” 윤대인의 벼락 터지는 소리에 일본영사는 되려 웃으면서 태연하게 대답했다. “우린 언약 대로 소가죽 한장 만큼한 땅에다 영사관을 지었을뿐이옵니다.” “눈이 먼 줄로 아는가? 이렇게 크게 집을 지어놓고도 소가죽 한장 만큼이라니!” “용정 시장의 소 한마리를 사다 잡아서 가죽을 벗기고 그 가죽을 가지고 재여서 딱 그만한 자리에다 토성을 쌓았습니다.” “당치도 않은 소리로다”! “한번 손수 재여보시지요.” 영사는 미리 준비해놓고 있던 소가죽을 가져오라고 하졸을 시켰다. 그런데 그 자가 가지고 나온 소가죽은 통것이 아니라 실오리처럼 가늘게 오리오리 오려낸 소가죽이였다. 영사가 오려낸 소가죽을 붙여놓으라고 하자 졸개들이 개미떼처럼 모여들어 잠간사이에 소가죽을 붙여놓았다. 틀림없는 큰 소가죽 한장이였다. “이 소가죽 한장을 길길이 늘여놓으면 꼭 우리 영사관의 토성둘레와 같사옵니다. 소가죽을 통채로 놔두어도 소가죽 한장이옵고 오리를 낸 걸 합쳐도 소가죽 한장이오니 이렇게 하나 저렇게 하나 소가죽 한장이야 한장이지 두장이나 백장은 아니잖고 뭡니까?” 간특한 영사의 얼굴에 침이라도 뱉아놓고 싶었지만 손수 대답한 말이라 윤대인은 입이 막히고 말았다. 이렇게 되여 용정에 으리으리한 일본총영사관이 들어앉게 되었다고 한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6-26
  • 中, 전 부청급 공안간부 1심서 16년형 언도받아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25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당일 중국 네멍구(内蒙古) 후룬베얼 중급인민법원은 1심을 거쳐 멍젠워이(孟建伟) 전 네이멍구 공안청 부청장의 수뢰죄, 거액 재산의 내원 불명죄와 비법적으로 총기와 탄약 소지 죄 등으로 유기형 16년에 언도하였다. 이 날의 법정은 다음과 같이 인정하였다. 피고인 멍젠워이는 국가공무원으로 선후로 바오터우시(包头市) 공안국장, 바오터우시 당위 상무위원, 정법위 서기와 네이멍구 자치구 공안청 부청장 등 직무를 맡고 있는 편리를 이용하여 타인을 위해 이익을 챙기게 했고 또한 직권과 지위(地位)가 형성한 조건을 이용, 기타 국가사업인원의 직무상의 행위를 통해 타인을 위해 부정당한 이익을 챙기게 하여 타인으로부터 거액의 재물을 받아 챙겼는바 그 금액은 2072만 여위안에 달했다. 그리고 멍젠워이의 재산과 지출은 합법적인 수입액을 초과되고 있었고 이 중 2144여 위안의 재산은 내원을 설명할 수 없었다. 게다가 멍젠워이는 4자루의 엽총과 탄약 955발을 소지하고 있은 것으로 정절이 엄중하였다. 이상에 비추어 후룬베얼 중급인민법원은 피고인 멍젠워이의 수뢰죄, 거액 재산의 내원 불명죄와 총기, 탄약 소지죄를 범한 것에 비추어 멍젠워이를 유기형 16년에 언도하고 인민폐로 200만 위안을 벌금하기로 판결하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6-26
  • 탄자니아 한 광부 2개의 특대 보석 발견
    ⓒAFP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일전 아프리카 한 광부가 2개 덩어리로 된 특대 보석을 발견했다고 26일 에이에프피(AFP) 통신을 비롯한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사니뉴라이저라고 불리는 광부는 지난 24일 탄자니아 북부의 한 작은 평지에서 짙은 자색빛을 띄는 2개 덩어리의 보석을 발견, 중량은 각각 9.27킬로그램과 5.103킬로그램이었다. 사니뉴라이저는 이 2개의 보석을 발견한 것으로 하여 정부로부터 77.4억 실링(약 335만 달러)의 상금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0-06-26
  • 2019년 中 주민 평균 예기수명 77.3세로 향상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 국가 위생 및 건강 위원회에 따르면 중국 주민의 평균 예기 수명이 2018년의 77세에서 2019년에는 77.3로 향상되었고 임산부 사망율은 2018년의 18.3명/10만 명에서 2019년에는 17.8명/10만 명, 영아의 사망율은 2018년의 6.1‰에서 2019에는 5.6‰로 하강되었다고 일전 중신망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의료위생자원 총량이 점차 증가됨에 따라 위생인력구성도 진일보 개선되었다. 2019년 말 중국의 위생기구는 1만 751개, 의료위생 기구의 침대수는 880.7만 장이었다. 병원 중 공립병원 침대수가 72.5%를 차지했고 민영병원의 침대수가 27.5%를 차지했으며 매 1000명당 의료위생기구의 침대수는 2018년의 6.03장으로부터 2019년에는 6.30장으로 늘어났다. 다음, 2019년 말 중국 전국의 위생인원 총수는 1292.8만 명으로 그 전해에 비해 62.8만 명이 늘어나 그 증가율은 5.1%에 달했다. 그리고 인구 매 1000명당 등록된 간호사는 3.18명, 인구 매 만 명당 전문병 치료 의사는 2.61명이었고 인구 매 만 명당 등록된 전문 공공위생기구 인원은 641명이었다. 위생지출자금 총량이 증가되고 결구가 개선됨에 따라 의료위생비용에 대한 주민들의 개인부담이 상대적으로 경감되었다. 보도에 따르면 2019년 중국 전국 위생비용 총 예산액은 6만 5195.9억 위안, 이 중 정부가 위생부문에 지출한 자금은 1만 7428.5억 위안으로 26.7%가 되었고 사회에서 위생부문에 지출한 자금은 2억 9278억 위안으로 44.9%가 되었으며 개인이 위생부문에 납부한 보험료는 18489.5억 위안으로 28.4%가 되었다. 또한 2019년의 매 인당 돌아가는 위생비용은 4656.7위안이었고 위생비용 총액이 GDP 중 차지하는 비율은 6.6%였다. 초보적인 추산에 따르면 2019년의 총 위생비용 중 주민 개인이 지출한 비용은 전년에 비해 0.25% 하강, 총 위생비용이 GDP 중에서 점하는 비율은 2018년보다 0.15%가 증장했다. 이 외 2019년 국가 기본 공공위생 봉사항목은 매 인당 기본 공공위생 봉사용 재정보조표준이 2018년의 55위안으로부터 69위안으로 향상되었다. 주민들의 의료봉사 이용율이 증가하고 공립병원 침대 사용율이 상승하였다. 2019년 중국 전국에서 의료위생기구의 총 진료인은 연인수로 87.2억 인차에 달해 전년에 비해 4.1억 인차가 증가하여 4.9%가 늘었으며 주민 인당 의료위생기구에 가서 병 보인 차수는 6.2차로 전년에 비해 0.2차가 늘어났다. 그리고 전년에 비해 병원에 가서 진료한 인수는 2.6억 명이 늘었고 기층 의료위생기구에 가서 진료한 주민수는 전년에 비해 1.2억 명이 늘었다. 2019년 전국 의료위생기구에 입원한 환자수는 2억 6596명, 그 전년에 비해 1143명이 증가, 4.5%가 늘었고 연 입원율은 19‰였다. 또한 공립병원의 입원인수는 1억 7487만 명, 전반 병원 입원인원수의 82.6%를 차지했고 민영병원 입원자 수는 3696만 명, 전반 병원 입원인수의 17.4%를 차지했다. 특히 2019년 중국 전국 병원의 침대 사용율은 83.6%, 이 중 공립병원의 침대 사용율은 91.2%로 그 전년에 비해 병원 침대 사용율이 0.6% 내렸으나 공립병원 수자는 0.1% 늘어났다. 한편 2019년 병원 퇴원자들의 평균 입원일은 9.1일로 그 전년에 비해 소폭 하강되었고 2019년의 병원 의사의 일평균 환자 진찰인수는 7.1인차와 책임진 일평균 입원 침대수는 2.5장이었으며 이는 그 전년의 수치를 기본상 유지하고 있는 상태였다. 공립병원의 의료비용 증장폭이 안정을 유지, 연 평균 의료비용의 증장폭은 연속 4년 간 4% 내로 통제되고 있다. 비율 가격으로 계산한다면 2019년 공립병원의 매 인당 진찰비용과 매 인당 입원비용은 각각 2.7%와 2.1%가 증장, 그 폭은 그 전년에 비해 각각 1.0%와 0.1%씩 하강, 전체 병원 평균 증장폭보다 각각 0.4%와 0.9%가 낮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6-26
  • 법무부, 자가격리 위반 등 외국인 3명 추가 출국 조치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격리시설에서 무단 이탈하고 자가격리 조치를 위반한 외국인 3명에게 출국조치가 내려졌다. 법무부는 26일 격리시설에서 무단 이탈한 한국계 미국인 1명과 자가격리 조치를 위반한 외국인 2명을 출국조치했다고 밝혔다. 시설에서 무단 이탈한 미국인(한국계) A씨는 6월 21일 입국하여 격리시설에 입소한 뒤 당일 밤에 인근 편의점을 방문하는 등 약 20분 가량 거리를 배회하다 경찰에 적발됐다. 자가격리 조치를 위반한 칠레인 B씨는 이태원 클럽 방문 사실을 숨기기 위해 자가격리 조치 당시 격리장소를 과거 체류지로 허위로 신고하고 방역당국의 자가격리 확인 전화도 고의로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스페인인 C씨는 자가격리 중 3일 동안 10 ~ 20분씩 5회에 걸쳐 격리지를 이탈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지난 23일 출국조치를 받은 한국계 미국인 A씨는 출국한 상태이며, 칠레인 B씨와 스페인 C씨도 항공편이 마련되는 대로 출국하게 될 예정이다. 한편 모든 입국자에 대한 의무적 격리가 시행된 4월 1일 이후 현재까지 공항만의 특별입국절차에서 격리에 동의하지 않아 강제송환된 외국인은 40명이고 격리시설 입소를 거부하거나 입국후 자가격리 의무를 위반해 추방된 외국인은 28명이다. <사진=법무부 제공>
    • 외국인· 출입국
    2020-06-26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