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1(토)

전체기사보기

  • 문화는 민족사회의 추진기와 안전띠
    ●김인섭(칼럼니스트) 국내의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즘즈문하다 싶더니 국외에서 일파만파로 확산되며 세상인심이 바늘방석에서 내려 가시방석에 올라앉은 분위기이다. 이 역병이 몰고오는 인명과 재산 피해가 얼마이고 그 파장이 어느 때까지인지 가늠하기 어렵지만 남기는 고통과 후유증 무게는 천문학 단위로 헤아려야 할 것만은 틀림없다. 이 초유 병귀(病鬼)의 횡포에 질겁한 인류는 생존과 생업을 위하여 정보통신 시스템과 지능화 기기들과 각종 최신 과학 기술을 리용하며 아득바득 몸부림을 치고 있다.오늘 각 나라마다 국가동원의 체제를 발동하여 전쟁이 방불한 전역을 벌이고 있으니 언젠가 평온한 일상이 돌아올 것이다.다른 일각에서는 코로나 대응 과정에서 형성된 디지털 삶의 양식들이 인간의 일상 생활에 고착되고 있으며 참신한 삶의 모델들이 륜곽을 명료히 드러내고 있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는 호흡도의 비말 전파와 기타 신체적 접촉이 주되는 감염 원인이기에 마스크 착용을 위시한 각종 조치들이 두루 쓰이고 있지만 외출을 자제하고 대소 모임을 최대한 줄이거나 금지하고 사람간 직접 혹은 가까운 접촉을 피하는 이것이 결정적 대책이다.이리하여 정보통신기술과 지능 기기를 리용하여 원격 환경에서 역병을 관리하고 기존 업무를 대체하는 문화가 시운을 타고 확산되게 되는것이다.이것은 이례적인 상황에서 나타난 홀출(忽出) 현상이지만 현대화 정보통신과 디지털 산업의 발전에 따라 구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플랫홈에서 실재화되고 현상화되는 것으로 봐야 한다.오늘의 코로나 초기에 비상대응책으로 활용되던 이 정보사회의 성과들이 실용 과정에서 놀라운 효률성과 실효성을 나타내어 사람들의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현실이다.물론 아직 상당히 미숙한 초기 단계인 관계로 일정한 혼란도 로출되지만 신속히 익숙해 지고 친숙해 지는 단계에 진입하였다.제4차산업혁명의 산물인 정보통신기술이 원격 비접촉 문화라는 혁신적 변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인류사회는 지능화 시대로 급속히 돌입한다는 명증이다. 미증유의 돌림병 공황이 우리 생활에 대한 충격이 장기화되고 있다.금번 사태에 대처하는데서 원격 비접촉이 필수인 원인으로 재래적 대면식 회의와 달리 화상회의와 원격치료와 같은 교류 수단이 광범히 리용되는 것이 새삼스럽다.코로나바이러스는 나라와 국경 그리고 민족을 불문하고 무차별적으로 치명타를 가하는 포악한 괴질이다.그러므로 그의 예방과 치료에서 근본적 효과를 보려면 독자적 국가가 아닌 모든 나라들과 모든 인류가 손잡고 이겨나가야 하는 것이다.그러므로 역병과 싸움에서 자력갱생이나 각자도생이란 시도는 망녕된 시도란 그 이상이 될 수도 없다.이라하여 금번 코로나의 방역 싸움에서 이뤄지는 국제화 교류도 시류를 따르는 원격 비접촉 방식으로 다양하게 이뤄지면서 디지털 문화를 급속히 확산시키고 있다.바로 코로나와의 전쟁이 인류 시대가 지능화 시대에로 비약하는 또 하나의 도약대가 아닌가 본다. 화제를 돌리고.코로나의 방지와 퇴치를 위하여서는 반드시 물리적 거리를 늘여야 하지만 인간 소통이란 사회적 거리는 더욱 가까이 하여야 실효를 보게 된다.위하여 비대면의 상황이라도 사회 교류는 더 활발하고 소통은 더욱 원활하고 협력 폭도 더 확장해야만 소기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이 모순을 해결하는 만능열쇠가 바로 디지털 수단이다.향후의 인간 생활에 미지의 역병이 불시착으로 습격할 것은 의심할 바 없고 폭우,폭설, 가뭄,홍수,지진 등등 천재지변도 불가피적인 것이다.이러한 재난을 순조롭게 넘으려면 비접촉 생존 방식이 여전히 필요가 아닌 필수로 되게 된다.그러므로 비접촉 문화는 향후의 복잡한 경제,정치,문화 환경에서도 더 폭발적으로 보급해야 한다.오늘 코로나 재난을 헤치고 나가는 조선족 사회의 모습을 보면 자신의 문화력을 바탕으로 지능화 도구의 리용 효과를 가배로 늘리고 월등한 효과를 올리고 있다.다시 말하면 민족 사회의 근저에는 우리의 선진 문화가 튼튼한 저력이 된다는 사실이다.그렇다면 조선족은 지능화 시대에 있어서 사회의 재난 및 평온 여부를 불문하고 생존과 발전의 천혜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단언할 수 있는 것이다. 미증유의 역병이 원격진료, 화상회의, 원격교육, 공장 무인자동화, 물류 배송 체계, 재택근무 같은 디지털 문화를 조기 정착시키는 기폭제이자 신호탄이 되고 있다.오늘의 코로나 재앙의 고비를 우리는 문화력 탄력을 받아 무난히 넘을 수 있다면 향후 비접촉경제 시대에도 문화가 역시 강대한 생산력으로 승화되어 막대한 작용을 발휘할 것이다.우리가 이 새로운 년대에 민족문화로 더욱 큰 민족 활무대를 열어가자고 한다면 결코 '열에 들뜬 헛소리'가 아닌 현실적 가능서을 가지고 있다. 바야흐로 도래하는 비접촉문화와 비대면경제가 흥기하는 이 뉴노멀(新常态) 시대에 이중언어를 위시한 민족문화는 혼란기의 생존 안전띠로, 안정기의 발전 추진기로 되고 남음이 있을 것이다.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5-07
  • [포토] 진달래의 향연...단동조선족촬영협회
    [동포투데이] 최근 단동조선족촬영협회가 진달래꽃이 만개한 관전현 진강진 혼강촌을 찾아 사진촬영 및 민속체험 활동을 가졌다. 혼강촌은 혼강이 흘러 압록강으로 합류하는 곳으로 맑은 하곡과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관광명소다. 단동조선족촬영협회 관계자는 “지속적인 민속, 민족 분야의 사진창작활동을 통해 우수한 민족전통문화를 보존하고 홍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단동조선족촬영협회 작품이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5-07
  • 中 5.1연휴 19개 지방 관광수입 랭킹 출범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6일, 중국 <5.1> 절 연휴기간 19개 지방의 관광 수입 랭킹이 일전 출범, 후난(湖南)이 140.99억 위안으로 랭킹 1위에 올랐고 후난, 광둥(广东), 상하이(上海), 구이저우(贵州), 허난(河南), 윈난(云南), 산둥(山东)과 깐수(甘肃) 등 8개 지방의 관광수입이 50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7개 지방에서 관광객 1000만 명 이상으로 접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 문화 및 관광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5.1>기간 전국에서 도합 1.15억 여인 차에 달하는 관광객을 접대, 국내 관광수입 475.6억 위안을 실현했다. 올 들어 중국에는 향촌 관광 주변 관광 등 근거리 관광이 화이라이트로 되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서도 많은 주제로 된 관광 상품을 추천했고 풍부한 문화 및 관광 활동으로 관광객들에게 이채로운 휴가기 체험을 선물하였다. 또한 코로나 19를 예방 퇴치하는 방면에서도 스마트한 관광을 최신식 서비스 수단으로 삼는 것으로 휴가기 관광객들의 평온한 질서를 보장하였다. 한편 관광 경관 데이터에 따르면 <5.1> 기간 각종 유형의 역사유적, 산악, 야생동물원, 고대 진(古镇), 각종 유형의 레이저 구역이 주민들이 주변 관광지로 선호되었다. 전통적인 관광명소 외 각종 유형의 농가마을, 개방성적인 문화 관광 종합 단지와 휴가촌 등도 당지 자가용 관광객들의 즐겨 찾는 곳으로 되었으며 특히 어떤 캠프카 야영지는 코로나 19 성행기간의 왕성기를 맞기도 했다. 올해의 <5.1> 기간 비교적 많이 찾은 역사 유적들로는 주요하게 베이징의 구궁(故宫), 왠밍웬(圆明园), 구이저우의 샤스구쩐(贵州下司古镇), 난징의 총통부(南京总统府) 등이었다. 그리고 어디로 가고 싶으면 곧바로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바로 찾을 수 있었다. 예하면 청두(成都)의 팬더기지, 칭청산(青城山), 항저우 시시습지(杭州西溪湿地), 광저우 창룽(广州长隆)의 야생동물원, 상하이(上海) 야생동물원과 충칭의 훙안둥(重庆洪崖洞) 등이 가장 관광객들이 즐겨찾는 명소로 되었다. 2020년 <5.1> 연휴 기간 중국 19개 지방의 관광수입 랭킹(순위 지방 관광 총수입 관광객 인수)은 ▲후난 140.99억 위안 1972만 9300명▲광둥 103.6억 위안 1861만 5000명▲상하이 95억 위안 707만 명▲구이저우 94.8억 위안 2309만 4900명▲허 난 79.26억 위안 1692만 1100명▲윈 난 78.89억 위안 996만 6200명▲산 둥 68.3억 위안 1265만 8000명▲깐 수 65.4억 위안 1060만 명▲장 수 47.66억 위안 806만 1500명▲베이징 41.8억 위안 463만 3000명▲랴오닝 37.6억 위안 525만 5000명▲산시(陕西) 33.51억 위안 1130만 6200명▲후베이(湖北) 24.53억 위안 735만 8600명▲신장(新疆) 17억 위안 440만 명▲텐진(天津) 6.54억 위안 688만 9600명▲쓰촨(四川) 0.85억 위안(풍경구) 688만 9600명▲닝쌰(宁夏) 0.28억 위안(풍경구) 74만 3500명▲저장(浙江) 미 상 796만 명▲충칭(重庆) 미 상 415만 3800명 순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5-07
  • 意 코로나19 완치환자, 현 확진환자 초과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6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탈리아 민사 보호부는 5일 24시까지 이탈리아의 코로나 19 완치환자가 93245명으로 처음으로 현 확진환자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민사 보호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당일 이탈리아의 완치환자는 8014명으로 현 환자보다 6939명이 적은 숫자였다. 이탈리아 민사 보호부는 완치환자 수가 대폭도로 상승한 부분적 원인은 코로나 19 사태가 가장 엄중했던 룸바 지구에서 며칠간 집계하지 않았던 완치환자수를 6일의 집계 수치에 넣었기 때문이다. 당일, 이탈리아의 코로나 19 확진 환자는 1444명, 누계로 21만 4457명에 달했고 사망 환자는 369명, 누계로 사망 환자는 2만 9684명이었다. 한편 현 환자 중 7만 4426명이 자가격리를 하고 있고 1만 5769명이 병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1333명이 현재 중증환자 감시보호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외 이탈리아에서 보통 입원 환자와 중증 입원 환자는 그 전 날에 비해 각각 501명과 94명이 감소되었다. 이탈리아는 지난 1월 31일부터 6개월을 기한으로 하는 코로나 19 예방 퇴치 긴급 상태에 진입했고 3월 10일부터 5월 3일까지 전국에서 <도시봉쇄 상태>에 진입했다. 5월 4일부터는 코로나 19 방역과 경제회복을 병행하는 <제2단계>에 들어섰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0-05-07
  •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 ‘정상 수업’ 시작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신선호)는 지난 3월 16일부터 진행한 온라인 수업을 마치고 정상적인 학사일정을 시작한다. 학교는 베트남 정부의 COVID-19로 확산방지 조치에 따라 정상 등교를 뒤로 미룬 채 학업 결손 최소화와 학생 학습권 보장을 위해 한국보다도 먼저「KIS 온라인 스쿨」을 시작했다. 「KIS 온라인 스쿨」은 한국 교육부와 베트남 정부의 지침에 따라 운영계획을 수립, 5월까지 약 8주간 운영되었다. 이 기간 동안 교사들은 학급담임의 조회·종례는 물론, 교사가 직접 제작한 다양한 교재 및 정선된 자료들을 활용한 실시간 수업과 피드백, 과정평가 등을 진행하였으며, COVID-19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보건 교육도 이루어졌다. 이제 학교는 호치민시의 방침과 학교의 결정에 따라 학년별 순차적 등교를 진행하는데, 학년별로 보면 중등 9학년과 12학년이 5월 4일(월), 초등 4~6학년과 중등 7, 8, 10, 11학년은 5월 8일(금), 초등 1~3학년은 5월 11일(월), 유치원은 5월 18일(월)이다. 모든 학년이 등교일 첫날은 보건교육을 진행하고, 둘째 날부터 본격적인 수업에 임한다. 학교는 등교를 위해 전 교직원과 스태프가 철저한 준비와 사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호치민시인민위원회의 점검도 통과했다. 우선 학생들이 생활하는 모든 공간과 책상, 사물함 등 집기에 1일 3회 소독이 이루어지며 주1회 학교 전체에 전문업체의 방역소독도 실시한다. 학생의 하루 동선에 따라 하루 2회 체온 측정, 손씻기, 학교 내 마스크 착용, 45분마다 에어컨을 끄고 10분 이상 실내 환기, 급식실 칸막이 설치, 배식과 식사시 거리두기와 정숙 지도, 매점 이용방법 개선을 실행하며, 유사 증상자 격리 지침도 마련하였다. 신선호 교장은 “그동안 답답하기도 하고 친구들과 선생님 생각도 많이 났을 텐데 꿋꿋이 잘 견뎌 준 학생들에게 너무나 감사하다. COVID-19의 어려움을 ‘협력과 공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돌파구를 찾자”며 학부모와 한인사회의 여행과 외출 자제, 마스크 착용과 손씻기 등 ‘일상적인 방역과 거리두기’협조가 있어야 정상적 학교운영이 지속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5-07
  • 대전광역시, 2021년 세계한상대회 개최지로 확정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내년 세계한상대회(2021.10.19~10.21)는 대전광역시에서 열린다. 재외동포재단(이사장 한우성)은 세계한상대회 제36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제20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지로 대전광역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세계한상대회 운영위원들은 대전광역시의 개최 계획과 필요한 제반사항 등을 검토한 후 차기 대회 개최지로 확정했다. 세계한상대회는 한민족 경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02년부터 재외동포재단과 지자체가 공동 개최하고 있으며 충청권에서 최초로 대전에서 개최된다. 올해 제19차 세계한상대회는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부산광역시 벡스코에서 열릴 예정이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5-0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