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中, 달 착륙 성공! 창어 6호 달 뒷면에 착륙
    [동포투데이] 6월 2일 6시 9분, 창어 6호가 달 뒷면의 남극 아이켄 분지에 성공적으로 착륙하여 인류 탐사선이 처음으로 달 뒷면에서 샘플 채취 임무를 시작할 것이라고 2일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창어 6호는 2020년 달 정면에서 샘플 회수에 성공한 창어 5호 미션과 비교해 달 역행 궤도의 설계 및 제어 기술에 돌파구를 마련했으며, 췌차오-2호 중계위성의 지원을 받아 달 귀환 지능형 고속 샘플링, 달 귀환 이착륙 등 핵심 기술 노드를 완성할 예정이다. 창어 6호 착륙선이 탑재한 탑재체는 계획대로 작동해 과학 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창어 6호의 국제 탑재물 중 ESA의 달 표면 음이온 분석기와 프랑스의 달 라돈 가스 탐지기는 곧 가동될 예정이며, 이탈리아의 레이저 각도 반사기는 배치를 완료했다. 궤도선·착륙선·상승선·재진입모듈 등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 창어 6호는 2024년 5월 3일 궤도에 진입한 이후 지구-달 이동, 달 근접 제동, 달 주변 비행, 착륙 및 하강 등의 과정을 거쳤다. 지난달 30일 창어 6호에서 분리된 착륙선과 상승기는 2일 새벽 하강을 시작해 착륙에 성공했다. 착륙선은 췌차오-2호 중계 위성의 지원과 지상 통제하에 태양날개와 지향성 안테나 전개 등 상태점검·설치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약 2일간 본격적인 채취작업을 시작해 드릴링과 로봇팔 채취 등 두 가지 방식으로 달표면 토양과 암석 샘플을 채취하게 된다. 동시에 달 뒷면 착륙 지점에 대한 현장 조사 및 분석, 달 토양 구조 분석 등 과학적 탐사를 진행해 달의 형성과 진화 역사에 대한 연구를 심화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중국군 고위장성 “‘대만 독립’은 곧 전쟁”
    [동포투데이] 엊그제 싱가포르에서 미·중 국방장관이 회담한 뒤 샹그릴라 대화에서도 양측은 계속해서 맞대결을 벌였다.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어제 연설을 통해 중국 인민해방군이 최근 새 민주진보당 정부를 징벌하기 위해 실시한 대만을 포위하는 훈련을 암묵적으로 비판하면서 미국 측은 인도 태평양 지역에서 억지력을 계속 유지하고 대만 해협의 현상 유지를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중국군은 즉각 기자회견을 열고 '대만 독립'은 전쟁과 다름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민해방군은 결코 훈련과 전쟁 준비를 멈추지 않을 것이며, 외세의 간섭을 막기 위해 결코 자비를 베풀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 서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이 지역 평화 안정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어제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에서 오스틴은 "유럽과 중동에서 전례 없는 분쟁이 발생하고 있지만 인도 태평양 지역은 여전히 우리의 최우선 무대이다. 아시아가 안전해야 미국도 안전하며, 이것이 바로 미국이 이 지역에 장기적으로 주둔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5월 31일 동쥔 중국 국방부 장관과의 회담을 언급하며 미국과 중국이 몇 달 안에 군사 전화 접촉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스틴은 분쟁은 협박이나 충돌이 아닌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면서 대만해협의 현상 유지와 남중국해에서 법치 유지를 지지한다"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오스틴의 발언이 중국이 "대만 독립 분리주의 세력"을 징계하기 실시 인민해방군의 최근 대만 주변 훈련에 대한 대응이라고 지적했다. 오스틴의 발언에 대해 대화회의에 참석한 중앙군사위원회 합동참모부 부참모장 징젠펑(景建峰)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대만해협 정세가 엄중한 가운데 라이칭더 일당은 조상을 잊고 '두 국가 이론'을 적나라하게 퍼뜨리고 있다"며 "군사적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 더 강력한 능력과 더 효과적인 수단, 더 확고한 결의를 발휘해 '대만독립'이라는 오만함을 타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만 독립은 전쟁이나 마찬가지"라며 "인민해방군은 전쟁 훈련과 준비를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며 외세의 간섭을 좌절시키는 데 결코 관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징젠펑은 또 오스틴이 이른바 '인도·태평양 전략'을 고취한 것은 미국의 패권을 계속 공고히 하고 이념으로 진영을 나눠 대결에 나서겠다는 의미라고 비판했다. 이어 미국은 이 지역에 병력 배치를 늘리고 고도로 표적화 된 장기적인 훈련 활동을 수행하고 모든 방향에서 도발을 일으키고 힘을 과시하여 지역 평화와 안정을 훼손했다고 주장했다. 전날 동쥔과 오스틴은 18개월 만에 처음으로 미·중 국방장관 회담을 가졌다. 미국 측은 해방군의 최근 대만해 훈련에 우려를 표명했고, 중국 측은 미국이 '대만 독립 세력'을 향해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에 단호히 반대했다. 대만 담강대학교 린잉유 조교수는 중앙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미국 국방장관이 각각 레드라인을 그었고 어떤 라인을 지나치게 자극해서는 안 되는지 상대방에게 알려줬다고 말했다. 동쥔은 어제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한 기하라 미노루 일본 방위상과 회담했다. 동쥔은 중국과 일본 국방부가 서로가 협력 파트너이며 서로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는다는 정치적 공감대를 실질적인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하라 미노루는 댜오위다오 등을 포함해 일본과 중국 사이에 많은 안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러 전문가 “미·중 국방장관 회동 군사분야 균형 유지 목표”
    [동포투데이] 5월 31일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 러시아의 저명한 동방학자이자 외교관인 블라디미르 자하로프는 스푸트니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중 국방장관 회동은 각자의 국가전략정책을 수행하는 방향 중 하나일 뿐 군사 분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대만은 워싱턴이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전략적 수단의 일부일 뿐, 대만의 군사적 충돌을 말할 시기는 아직 무르익지 않았으며, 대만 주변의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자하로프는 "워싱턴의 전반적인 전략 노선은 중국에 대한 글로벌 압박이며, 대만은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수단의 일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대만 해협의 상황이 긴박하긴 하지만 충돌이 임박한 상황은 아니다. 자하로프는 "양측이 아직 정치적, 군사적 측면에서 적절한 잠재력을 축적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만을 둘러싼 군사적 충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측은 대규모 군사 훈련부터 협상까지 다양한 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방부 장관들은 현재로서는 넘을 수 없는 레드라인을 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대만 지역 지도자 라이칭더가 5월 20일 이른바 '취임' 연설을 했고, 사흘 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는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등의 병력을 조직해 대만섬 주변에서 '합동 검-2024A' 훈련을 벌였다. 군사훈련이 끝난 지 48시간도 되지 않아 미국 대표단이 대만을 찾았다. 미국 측은 또 대만과의 관계법에 따라 대만에 대한 방어용 무기를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하로프는 "대만 주변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며 "미국은 이 섬에 무기를 제공하고 국회 대표단을 파견해 분리주의자들과 양안 통일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격려했다고 지적했다. 현지시간 5월 31일 오후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고 중국 관영 CCTV가 보도했다. 미·중 국방장관이 직접 만난 것은 2022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회담에서 양국 국방장관은 미중 양국의 양국 관계, 대만 문제, 남중국해 문제, 우크라이나 위기,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충돌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회담에서 동쥔은 대만 문제에 대해 중국 측의 확고한 입장을 밝혔다. 동쥔은 미국이 라이칭더의 '취임'을 축하하고 대표단을 보내 '취임식'에 참석한 것에 대해 대만 문제는 순전히 중국 내정이며 외부 세력이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측이 실수를 제대로 바로잡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무력으로 대만독립을 돕지 말라'라고 촉구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美국방장관 “중국과의 전쟁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
    [동포투데이]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31일에 있은 동준 중국 국방부 부장과의 회담이 만족스럽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오스틴의 발언은 미국과 중국 국방장관 간의 회담 직후에 나왔다. 그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 정상회의에서 "모든 논의가 유쾌하지는 않겠지만 서로 계속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오산과 오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계속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스틴은 또 "중국과의 전쟁이 임박한 것도 불가피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오스틴은 싱가포르 '샹그릴라 대화' 안보포럼 기간 중 중국 국방장관과 만났다. 펜타곤은 중국군의 최근 대만해협 훈련과 우크라이나 주변 정세,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 논의하면서 75분간 전문적이고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오스틴이 중국의 러시아 군사 지원에 대한 워싱턴의 우려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틴은 그러한 지원이 계속된다면 미국과 동맹국들은 "추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10개국 외무장관, 북한에 러시아로의 무기 수출 중단 촉구
    [동포투데이]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10개국 외무장관들은 북한의 러시아로의 무기 이전이 우크라이나에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규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한국, 영국, 미국, 유럽연합 외무장관은 5월 31일 북한에 무기 수출을 중단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우리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중요 인프라를 공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서방 동맹국들은 최근 북한과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를 재확인했지만 새로운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이달 초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에 관여하고 있다는 서방의 주장은 부정확하며 러시아와 북한 관계는 제3국을 겨냥한 것도 아니고 지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북한에 모든 핵무기, 탄도 미사일 및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성명은 외교적 채널만이 지속적인 평화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10개국 외교 장관의 성명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훈련 중 단거리 탄도 미사일 18발을 발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발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지휘했다. 북한은 이번 발사체는 북한군이 언제든지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적에게 인식시키고 적의 대북 무력사용 시도에 대응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1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세계 최초 시속 160km 임베디드 자기부상 열차 공개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2일 중국 쓰촨 청두(四川成都)에서 ‘2021 청두(成都) 국제공업박람회(이하 박람회로 약칭)’가 열렸다. 중국 공업 분야 연례행사인 이번 박람회는 산업 자동화, CNC 공작 기계 및 금속 가공, 궤도 교통, 로봇, 산업지원, 산업 장비, 신소재 및 차세대 정보 기술을 포함한 7개의 주제로 나뉘어 진행된 가운데 양질의 600개 제조업체가 5만 평방미터가 되는 전시장에서 스마트 제조 산업 핵심 및 관건 제품을 전시해 중국 서부 공업 생산 발전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번 박람회에서 가장 눈길을 끈 곳은 궤도 교통관이였다. 이 전시관은 근 70개에 달하는 유명 기업을 맞아들여 상호작용 체험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궤도교통업의 최신 발전 동향과 선진적인 시스템을 공개했다. 전시장을 찾은 관객들은 궤도 열차와 함께 사진을 찍는 것은 물론 모의운전과 열차 조종석을 둘러보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 특히 전시장에는 세계 최초 시속 160km 임베디드 자기부상 열차가 전시돼 관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소개에 따르면 이 열차의 속도, 가속, 코너링, 에너지 소모 등 지표는 기존 도시 궤도열차보다 우수하며 진동과 소음이 거의 없다. 또한 안정적이고 쾌적하며 원가절감에도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전시장에는 시속 160km 자율주행 스마트 시티 신형 열차도 등장했다. 이 열차는 청두 중국열차 창커회사(长客公司)가 연구 제작하였으며 최고 등급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였다. 열차에는 자율 주행, 장애물 감지, 5G 통신망, 이더넷 열차제어시스템 등 궤도교통 최신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스마트, 친환경, 안전, 쾌적함이 특징이다. 2020년 청두-충칭 도시 경제권의 5대 산업 생산액은 2조 2000억 위안, 전자 정보 산업은 1조 위안을 돌파하였다. 소프트웨어 및 정보 서비스와 첨단 에너지, 장비 제조업이 운집되고 인공지능(AI) 혁신, 응용 선도 지역으로 승인되는 등 산업 역량이 향상되면서 그 뒷심이 모아지게 됐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23
  • 中, 22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19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22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19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보고된 신규 확진자 19명(상하이 5명, 광둥 5명, 윈난 3명, 저장 2명, 충칭 2명, 쓰촨 2명) 모두 해외 입국자이며 추가 사망자와 의심환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 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16명이고 의학적 관찰에서 해지된 밀접접촉자는 619명이다. 중증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22일 24시까지 확진자 306명(중증 5명), 누적 퇴원자 8만5624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566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853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718명(퇴원 1만1316명, 사망 209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9명(퇴원 48명), 타이완 지역은 1086명(퇴원 1041명, 사망 11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23
  • 美 법원, 폴로이드 살해혐의 백인경찰 유죄 인정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법원이 전 백인경찰 데릭 쇼빈의 살인과 과실치사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AP통신에 따르면 현지 시간으로 20일 미국 미네소타주 헤너핀 카운티 배심원단은 작년 5월 흑인 남성 용의자 조지 플로이드의 목을 무릎으로 짓눌러 살해한 백인 경찰관 데릭 쇼빈에게 유죄 평결을 내렸다. 당일 배심원단은 약 10시간의 심리를 거쳐 만장일치로 쇼빈의 2급과 3급 살인 및 2급 과실치사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형량에 대한 1심 선고는 8주 후에 이뤄질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쇼빈에게 약 40년 징역형이 선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쇼빈은 작년 5월25일 20달러짜리 위조지폐를 사용한 혐의로 플로이드를 체포하는 과정에서 그의 목을 무릎으로 9분 29초간 짓눌러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됐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4-23
  • 中 티베트, ‘5G+로봇’ 원격 정형외과 수술 성공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4 월 19 일, 베이징-티베트 “5G+로봇” 원격 정형외과 수술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고 21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티베트 의료분야의 협력으로 진행된 이번 수술에서 라싸시 인민병원은 환자 수술 영상을 5G 실시간 통신기술을 통해 베이징 지수이탄 병원으로 전송, 베이징 지수탄병원의 전문의는 원격으로 라싸시 인민병원 의사들을 지휘하여 정형외과 수술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런이(任轶) 라싸시 인민병원 원장은 “이번 원격수술은 복잡한 상처와 척추 수술을 더 많이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며 "의료 서비스의 질을 한층 높이고 티베트인들의 늘어나는 건강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긍정적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22
  • 中, 21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6명
    [동포투데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22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6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보고된 신규 확진자 6명 (광둥 2명, 톈진 1명, 상하이 1명, 후베이 1명, 윈난 1명) 모두 해외 입국자이며 의심환자는 2명(상하이, 해외 입국자)이다. 추가 사망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 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8명이고 의학적 관찰에서 해지된 밀접접촉자는 485명이다. 중증환자는 전날보다 1명 줄었다. 한편 21일 24시까지 확진자 303명(중증 5명), 누적 퇴원자 8만5608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547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2835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704명(퇴원 1만1302명, 사망 209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9명(퇴원 48명), 타이완 지역은 1082명(퇴원 1038명, 사망 11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22
  • 中, 후베이 이창 싼샤댐 북선 갑문 통항 앞당겨 재개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21일, 인민망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성 이창시 이링구 타이핑시진 쉬자충촌(湖北省宜昌市夷陵区太平溪镇许家冲村)에 위치한 싼샤댐(三峡大坝) 북선 수문 단 방향 보수정비가 완료돼 싼샤댐은 남북 양방향의 통행이 재개되었으며 북선의 수문이 모두 앞당겨 통항을 개시했다. 싼샤 통항관리국에 따르면 지난 3월 16일부터 거저우댐(葛洲坝) 2호 갑문은 32일간, 싼샤댐 북선 갑문은 35일간 정비했다. 거저우댐은 지난 4월 16일 20에 운항을 재개했고 싼샤댐 북선 수문도 예정보다 12시간 앞당겨 정비를 완료하고 운항을 재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22
  • 中, 랴오둥만 갯벌 점박이물범 ‘눈길’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중국 동해안의 생태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최근 연 며칠 랴오닝성(辽宁省), 판진시(盘锦市) 랴오허(辽河)의 입해구 싼다오거우(三道沟) 해역 갯벌에 대량의 점박이물범이 모여들어 휴식을 취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점박이물범은 중국 국가 1급 해양보호동물로서 매년 12월이 되면 랴오둥만(辽东湾) 북단의 랴오허 입해구에 모여들어 과동, 5월 중순을 전후로 서북 태평양으로 이동해 바다생활에 진입한다. 현재 판진시에서는 핵심 서식지에서의 점박이물범 포획 및 대형 공사의 시공 등을 엄금하고 있으며 관측 탑을 세워 점박이물범의 먹이 찾기 및 마리수의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监测)하고 있는 동시에 야생 점박이물범에 대한 적극적인 구호활동과 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호 등에 도움을 주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22
  • 英, 코로나 바이러스 ‘인체 도전 테스트’ 가동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영국 언론에 따르면 19일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과학자들이 코로나19 ‘인체 도전 테스트’를 가동한다. 이 테스트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적 있는 피험자를 의도적으로 바이러스에 다시 노출시켜 면역 반응과 재 감염 여부를 관찰한다. 보도에 따르면 ‘인체 도전 테스트’는 두 개 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첫 단계는 자연조건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는 18 – 30세 되는 건강한 자원봉사자 64명을 모집하는 것이고 둘째 단계는 이들 자원봉사자들이 ‘이신 시독(以身试毒)’으로 안전한 제어환경에서 재 감염되게 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하게 될 바이러스는 현재 출현하고 있는 각종 변이 바이러스가 아닌 최초에 발견된 코로나19 바이러스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1-04-21
  • 中, 올해 코로나 백신 생산량 30억 도스 초과할 듯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0일에 개최된 보아오 포럼 2021년 연차총회 ‘코로나19 백신 공급과 접근성’ 포럼에서 중국 국무원 연합방위통제 기구 과학연구팀 백신연구개발전담 팀장이며 국가 위생‧건강위원회 과학기술발전 연구센터 주임 정충웨이(郑忠伟)는 현재 연간 50억 도스에 육박하는 코로나19 백신 생산량이 하반기 30억 도스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당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포럼에서 정 주임은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중국은 신속하게 과학연구에 박차를 가해 백신연구 및 개발에 나섰다”면서 “국무원연합방위통제 과학연구팀 발족 후, 전국 10개 과학연구 기관의 12종 백신을 엄선해 성공률 확보의 난제에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정 주임은 또 “백신 연구 개발에서 중국은 동물실험, 심사, 승인과 해외에서 실시한 3상 임상 시험을 포함하여 그 어떤 연관성도 생략하지 않았다"며 "중국의 백신 심사 및 승인 기준은 결코 미국과 EU 기준보다 낮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백신 생산 과정에서 전 세계의 방역 수요도 고려했다"며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 공공재품으로 공언해 각국 국민이 접종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올 하반기 다자·양자 체제를 통해 전 세계에 더 많은 백신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4-21
  • 美 화성 헬기 '인저뉴어티' 첫 비행 성공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헬기 '인저뉴어티'(Ingenuity)가 19일 화성 하늘을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시험비행은 이륙 후 약 3m 높이까지 상승해 96도 돌았다가 정지비행을 하고 하강과 착륙 등 모든 설정 동작을 수행했다. 이륙부터 착륙까지 약 40초간 비행했다. 올 2월 28일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 아랫부분에 탑재돼 화성에 함께 도착한 ‘인저뉴어티’는 무게가 1.8 kg, 본체 1개, 착륙 다리 38.4cm이며 충전용 태양광 전지판 4개와 4 피트 (약 1.2m) 프로펠러 2개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펠러는 분당 2400회 회전하며 일반 헬기보다 약 5배 빠르다. ‘인저뉴어티’ 조종 팀은 1차 시험 비행 데이터와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입수하고 분석해 2차 시험 비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 2차 시험 비행은 이르면 22일 진행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4-2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