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실시간뉴스
  • 美 총기 소유율 25년 만에 최고치 경신
    [동포투데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과 2021년에는 타살, 자살, 우발적 부상을 포함한 총기 피해는 1~19세 미국 어린이 및 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아프리카계이라고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대(University of Minnesota)가 최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메디슨에 발표한 연구보고에서도 이 같은 결과를 반영했다. 연구팀은 1999년부터 2022년까지 CDC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 청소년들의 총기 관련 사망자가 35% 증가했으며 그중 아프리카 청소년들의 증가율이 현저히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버드 대학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보건 정책 교수인 데이비드 헤맨웨이는 이 현상은 20년 동안 미국의 일부 주에서 총기 취득 범위를 확대하기로 한 결정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4%에 불과하지만 총기 자살은 전 세계의 35%, 총기 타살은 전 세계의 9%를 차지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총기에 사망할 가능성은 백인보다 12배 높다. 지난 25년 동안 총기 규제 법률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었지만 이러한 상황은 바뀔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 NBC뉴스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총기 소유율은 최근 25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권자의 52%가 총을 소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총기 소유율을 기록했다. 한편, 하버드대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의 60%가 총기 소지는 자기 방어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범죄가 줄어들고 있는지, 악화되고 있는지, 아니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유권자의 42%는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답했고 21%만이 상황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헤맨웨이 교수는 “지난 25년 동안 총기 사망자는 급격히 증가한 반면 다른 부유한 나라들의 평균 총기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다”며 “미국은 지금 점점 다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4-06-06
  • 중국 134개 품목 관세 감면 중단, 책임은 민진당 당국에 있어
    [동포투데이] 지난 5월 30일 국무원 관세규정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대만 발 윤활유 기초유 등 134개 품목 수입품에 대해 '양안경제협력기본협정(ECFA) 협정 세율 적용을 중지하고 현행 관련 규정에 따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공고했다. 이는 본토가 지난해 12월 21일 ECFA에 따라 프로필렌을 포함한 12개 세금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취한 추가 조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1일 대만지역 당국이 장기간 일방적으로 대륙(중국)에 차별적인 무역 제한을 가하는 것은 ECFA 중 '양안 간의 실질 다수 화물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한다'는 규정을 위반하였고 양안 기업의 이익은 물론 양안 동포들의 복지를 해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2023년 12월 21일 대륙이 ECFA에 따른 프로필렌 등 12개 품목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후, 대만지역 민진당 당국은 대륙에 대한 무역규제를 폐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만 독립'을 고취하고 양안의 대립을 선동하여 ECFA 시행의 기반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륙 당국이 ECFA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를 추가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다. 가오쿵롄(高孔廉) 해협 경제무역문화교류협회 회장은 "이번에 중단한 관세 감면 품목 중 주로 기계 분야와 석유화학,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등 대부분이 전통 산업과 관련이 있다"며 “석유화학 분야에 집중된 이전 품목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커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지웬지(介文汲)는 대만이 본토 수출에 대한 '무관세' 특혜가 폐지되면 대만 내 제조업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 제조업체는 어쩔 수 없이 생산기지를 본토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본토 시장만 진출하고 이전할 수 없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으며 종업원이 많은 전통산업이 문을 닫으면 실업의 물결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여론조사, 서구인의 6%만이 미국이 유럽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
    [동포투데이]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중 극소수만이 향후 10년 동안 자국의 안보를 보장해 줄 것이라고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 (YouGov)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에서 3,36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중 6%만이 미국이 향후 10년 동안 유럽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있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라고 믿고 있는 반면, 미국인의 24%는 매우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나 선임연구원은 "연간 조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저항을 강력히 지지한 지 2년이 지나면서 이 비율은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큰 기여를 해왔지만 서유럽인의 6%만이 미국이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신뢰가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나는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낭비라고 표현하며 미국에 불공평하다고 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문에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대다수 서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미국이 유럽에 주둔하는 병력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유럽 방위의 주요 책임을 미국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오랫동안 국가 안보 계획을 요구해 온 프랑스에서는 31%가 유럽이 자체적으로 국방을 관리하고 미국과 '보다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 세계에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인 국가 원수를 묻는 질문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수의 표만 받았다. 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인의 33%와 프랑스인의 25%가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였다고 답해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행사... 미-영 압력에 러시아 초청 취소
    [동포투데이] 프랑스는 오늘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한다. 프랑스는 당초 이 행사에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문제 제기로 막판에 마음을 바꿔 러시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최근 러시아와 서방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서술조차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에 고위 인사들과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모일 예정이다. 주최 측은 지난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초청하지 않지만, 2차 대전에서 소련의 역사적 역할을 고려해 일부 러시아 대표를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프랑스 측은 프랑스 주재 러시아 대사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영국, 제2차 세계대전 동맹국 관계자들이 충격에 빠져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미국 언론에 보도되자 프랑스 측은 러시아 측을 초청하지 않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5월 말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최근 몇 주 동안의 전투 격화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은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과거 러시아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이 유럽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의 대규모 군대를 막아 2차 세계대전 종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 시기에 러시아 대표를 초청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인상을 주고 외교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소련 홍군이 나치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에 대해 항상 존경을 표해 왔으며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5월 백악관은 소셜 플랫폼에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역의 승리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소련을 언급하지 않고 미국과 영국이 나치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약 1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하며 나치 독일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펼쳤다. 오늘 기념식에는 약 4,50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 200명이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로서 대부분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출신이다. 그중에는 틱톡에서 7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101세의 미군 참전용사 제이크 라슨도 포함되어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전투 사이의 공명"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찰스 3세 국왕 부부 윌리엄 왕세자, 윌프레드 신 영국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귀빈으로 참석한다. 오늘 오후 1시(현지 시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해 오마하 해변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미군이 많은 사상자를 낸 오마하 해변에서 국제 기념식을 주재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日 언론 “중국서 홍색 관광 유행”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홍색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지지통신은 2일 중국 공산당(CPC)의 역사와 관련된 '홍색 관광'이 중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공산당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도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후반, 마오쩌둥은 장시성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세웠다. 한 40대 여성이 당시 공산당의 역사를 사진으로 전시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당과 마오 주석의 위대함에 감명을 받았고, 아이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공산당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애국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고전적 홍색 관광지 수는 10년 전보다 3배 증가한 300곳에 이르렀다. 과거에는 단체로 홍색 관광지를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중미 관계가 긴장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심이 고양되고 방문객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징강산 거리에는 마오쩌둥 주석의 초상화 배지와 기타 상품이 진열된 상점들이 눈에 띈다. 군모를 쓴 한 20대 여성은 "멋지지 않아요? 여기 오면 꼭 하나 사야죠"라고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홍색 관광' 시장이 향후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관계 침체에도 불구하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홍색 경제'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방 언론에서는 중국의 '홍색 관광'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징강산 혁명박물관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중국은 중국의 입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실시간 뉴스홈 기사

  • 中 자가용 보유량 2억대 돌파…
    [동포투데이] 7일 공안부에 따르면, 2019년 말까지, 전국 66개 도시의 자동차 보유량이 100만대 초과했고 자가용 보유량이 2억대를 돌파했다.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자동차 보유량이 2018년 말에 비해 8.83% 증가한 2억 6천만대에 달했다. 그중, 자가용(개인용 소형 승용차) 보유량이 2억 700만대로서 최근 5년 간 매년 평균 1,966만대 증가했다. 전국 66개 도시의 자동차 보유량이 100만대 초과했고 30개 도시가 200만대를 초과했다. 그중, 베이징, 청두(成都), 충칭(重慶), 쑤저우(蘇州), 상하이(上海), 정저우(鄭州), 선전(深圳), 시안(西安), 우한(武漢), 둥관(東莞), 톈진(天津) 등 11개 도시가 300만대를 초과했다. 2019년 말까지, 전국의 신에너지자동차 보유량이 381만대에 달했고 연속 2년 증가량이 100만대를 초과했으며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1-09
  • 中, 2020 '빈곤퇴치' 주제 취재활동 진행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신화망에 따르면 8일, 중국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장베이 현 더성(河北省张家口市张北县德胜村) 촌에 있는 대부분의 새 집들이 완공되어 촌민들이 입주하기 시작했다. 이 마을은 기업의 지원 및 정부의 보조금으로 낡은 마을을 풍격이 독특하고도 편안하며 살기 좋은 마을로 개변시켜 민속관광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마침 이 날은 또한 보도 분야의 <봄과 더불어 기층 찾기> 활동을 가동한 이튿날이었고 이 활동에 참여한 미디어 일군들은 빈곤퇴치의 제일선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계속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1-09
  • 중국 삼협 댐 물류단지 오수처리장 준공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인민망에 따르면 지난 7일 중국 삼협 저수구역인 후베이 성 이창시 즈구이 현(湖北省宜昌市秭归县)의 댐 물류단지 오수처리장이 준공되어 정식으로 시 운행에 들어갔다. 이는 양자강 이창 시범구 지역의 시범 프로젝트로, 이 프로젝트는 삼협 댐 물류산업단지에 대한 봉사 외에도 삼협 츄웬(屈原) 문화생태관광구와 즈구이 현성의 진강성(金缸城) 신 구역에 대한 봉사를 실행, 봉사받는 인구가 7만여명에 달하고 오수처리 능력은 하루에 1만톤에 달하게 된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1-09
  • 中 봄도시 쿤밍 겨울 벚꽃 만개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신화망에 따르면 7일, 봄도시 쿤밍시(昆明) 훙타(红塔) 서로에 겨울 벚꽃이 만개하였다. 최근 쿤밍시는 햇빛이 찬연하여 겨울 벚꽃들이 앞다투어 피면서 그림같은 아름다움을 펼쳐 보이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1-08
  • 2020년 중국 항공우주업 순항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신화망에 따르면 7 일 23시 20분, 중국은 시창(西昌) 위성 발사 센터에서 창정(长征) 3 호 운반로켓으로 통신기술 테스트 위성 5호를 성공적으로 우주에 발사, 위성이 계획궤도에 예정대로 진입하였다. 이것은 2020 년 중국의 우주업의 순항임을 증명하고 있다. 전하는데 따르면 통신기술 테스트 위성 5호는 주로 위성 통신, 방송 및 TV, 수치 전송과 기타 서비스에 사용되며 처리량이 많은 기술 테스트 검증을 수행하게 된다. 통신기술 테스트 위성 5호와 창정3호 운반로켓은 중국 항천 과학기술 그룹 유한회사 산하의 상하이 항천기술 연구원과 중국 운반로켓기술 연구원에서 각각 연구제작한 것이다. 이번의 발사는 창정 계열 운반로켓을 이용한 제 324번째의 발사로 된다.(사진출처 : 신화사)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1-08
  • 민주평통 대구수성구 협의회,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에1억동 쾌척
    [동포투데이]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신선호)는 2020. 1. 6.(월) 본교 반얀트리홀(발전기금 명예의 전당)에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동남아서부협의회 박남종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광역시 수성구 협의회(회장 신철범)로부터 1억 동의 학교발전기금을 기탁 받아 반얀트리홀에 헌액했다고 밝혔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는 국민의 통일의지와 역량을 결집하여 민족의 염원인 평화통일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헌법기관이다. 민주평통 지역협의회 중 하나인 대구광역시 수성구 협의회는 지난 1월 5일부터 한반도 평화통일에 관한 범민족적 의지와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베트남을 방문하였고 바쁜 일정 중에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에 학교 발전기금을 기탁하였다. 신선호 교장은 “베트남은 대한민국의 번영과 한반도 평화에 있어 의미가 큰 곳이다. 우리 학생들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하는 미래 인재로 키워내겠다.”며 기탁해주신 발전기금은 소중히 사용하겠다는 감사의 뜻도 전했다. 민주평통 대구광역시 수성구 협의회 신철범 회장은 “머나먼 이국에서 학생들이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가진 글로벌 미래인재로 성장하도록 교육하고 있는 한국학교의 역할이 크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끼고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비록 작은 정성이지만 학교 발전을 위해 소중히 쓰인다면 보람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민주평통 여러 지역의 협의회에서 재외한국학교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기탁의 뜻을 전했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1-07
  • 中 충칭 고속철 승무원 춘윈 대비 훈련에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6일, 신화망에 따르면 2020년 춘윈(春运)이 바야흐로 막을 올릴 무렵이 다가오자 중국철도 청두국()成都局 그룹유한회사 충칭(重庆)수송단 기동차 1팀 승무원들은 기초업무훈련에 열중, 예의범절, 얼굴과 몸매 가꾸기 등으로 봉사수준 향상에 돌입했다.(사진출처 : 신화통신)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1-07
  • 中 장시 가을 작물 말리기 한창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인민망에 따르면 지난 6일, 이날은 24절기 중 <소한(小寒”)>이었다. 하지만 중국 장시성 우우웬 현 둥르황링구 촌 (江西省婺源县,冬日篁岭古村)의 가가호호들에서는 여전히 가을 작물을 말리는 것으로 일종의 풍경을 이루고 있었다. 사진은 둥르황링 촌 어느 한 가정에서 가을 작물을 말리는 특색적인 모습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0-01-07
  •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를 찾은 경남교육청 꿈키움교실 문화탐방단!
    [동포투데이]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신선호)에 지난 1월 7(화) 경남교육청 ‘2020 꿈키움교실 활성화를 위한 사제동행 문화탐방단’ 이 방문하였다. 경남 도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매년 겨울방학시즌에 맞춰 열고 있는 ‘사제동행 문화탐방’은 학생들이 해외 속 우리 문화를 경험하고 세계 속에서 가능성과 꿈을 키우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대만과 중국 상해를 방문해 현지 문화와 역사, 세계 속에서 살고 있는 다양한 한국인의 모습을 살펴본 이들은 올해 베트남의 주요 도시를 방문한다. 1차 탐방은 경남교육청 도내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6일부터 10일까지 베트남 경제도시 호치민을, 2차 탐방은 도내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13일부터 17일까지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를 방문한다. 국내 대기업 진출과 박항서 베트남 축구국가 대표팀 감독의 활약, 한류 열풍이 강하게 불고 있는 베트남을 찾아 다양한 현지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우리 문화의 위대함을 직접 현장에서 느끼는 기회를 갖는다고 한다. 7일,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를 찾은 ‘사제동행 문화탐방단’은 학생과 인솔 교사 총 7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시설들을 살펴보며 세계 속 한국의 교육 현장을 생생하게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탐방단의 한 학생은 베트남에서 한국의 뿌리를 잃지 않고 자랑스러운 한국인을 키워내는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의 위상에 다시 한 번 자부심을 느꼈다고 밝혔다. 신선호 교장은 “세계 속에서 한국을 찾아 나선 사제동행 문화탐방단의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 이역만리 낯선 땅에서도 한국인이 뿌리를 내리고 있고, 글로네이컬(GloNaCal) 미래 인재로 성장하는 학생들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1-07
  • 북경한국국제학교, 2019학년도 졸업식 개최
    ▲ 졸업을 자축하며 사각모 던지기 [동포투데이] 북경한국국제학교(교장 한경문)는 7일 '2019학년도 북경한국국제학교 졸업식'을 본교 강당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졸업식에서는 6학년 66명, 9학년 88명, 12학년 98명 등 총 252명이 영예로운 학사모를 썼으며, 주중대한민국대사(대사 장하성)를 대신하여 참석한 이충면 정무공사가 12학년 우수 졸업생에게 표창장을 수여하였다. 이 자리에서 대사는 이충면 정무공사가 대독한 졸업 축사를 통해 졸업생들의 노고를 치하하면서 중국에서 자란 글로벌한 인재로서 G2로 성장한 중국과 미국을 경쟁과 대결이 아닌 상생과 평화로 이끌어갈 능력과 도덕성, 윤리정신을 갖추어 달라고 당부하였다. 학교 발전 기금을 기탁한 중국한국상회, 포스코, 재중IT기업협회와 장학금을 기탁한 우리은행, 하나은행, 학부모회를 비롯해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 북경 한국인회, 민주평화통일 베이징협의회, 중소기업협회 등 베이징 각계각층에서 참석하여 상장을 수여하였고, 학교발전기금 및 장학금 기탁을 통해 졸업생들의 새로운 출발에 힘을 더해 주었다. 한경문 교장은 졸업식 축사에서 “여러분이 주인공이 될 미래 사회는 지식이나 실력보다도 인성이 더 중요한 사회가 될 것입니다. 내가 먼저 사랑하고 겸손하게 섬기며 작은 것이라도 베풀고 나누는 인성이 넘치는 삶을 살아간다면 여러분은 행복한 미래의 주인공이 될 것이며, 우리 사회도 좀 더 따뜻한 사회가 될 것입니다.”라며 당부하였다. 아울러 “우리의 뿌리인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잊지 않고, 우리가 지금 있는 이곳 중국의 언어·역사·문화에 해박하며, 궁극적으로 세계와 인류에 공헌하는 세계시민의 자질을 갖춘 창의 인성을 갖춘 글로내컬 인재로 성장하도록 노력하십시오.”라는 격려의 말씀으로 졸업생들의 앞날을 축복하며 축사를 마무리하였다.
    • 뉴스홈
    • 재외동포
    2020-01-0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