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6(목)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중국 134개 품목 관세 감면 중단, 책임은 민진당 당국에 있어
    [동포투데이] 지난 5월 30일 국무원 관세규정위원회는 6월 15일부터 대만 발 윤활유 기초유 등 134개 품목 수입품에 대해 '양안경제협력기본협정(ECFA) 협정 세율 적용을 중지하고 현행 관련 규정에 따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공고했다. 이는 본토가 지난해 12월 21일 ECFA에 따라 프로필렌을 포함한 12개 세금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취한 추가 조치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31일 대만지역 당국이 장기간 일방적으로 대륙(중국)에 차별적인 무역 제한을 가하는 것은 ECFA 중 '양안 간의 실질 다수 화물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한다'는 규정을 위반하였고 양안 기업의 이익은 물론 양안 동포들의 복지를 해친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2023년 12월 21일 대륙이 ECFA에 따른 프로필렌 등 12개 품목 관세 감면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후, 대만지역 민진당 당국은 대륙에 대한 무역규제를 폐지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만 독립'을 고취하고 양안의 대립을 선동하여 ECFA 시행의 기반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륙 당국이 ECFA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를 추가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다. 가오쿵롄(高孔廉) 해협 경제무역문화교류협회 회장은 "이번에 중단한 관세 감면 품목 중 주로 기계 분야와 석유화학,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등 대부분이 전통 산업과 관련이 있다"며 “석유화학 분야에 집중된 이전 품목에 비해 규모가 훨씬 커져 중소기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산업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지웬지(介文汲)는 대만이 본토 수출에 대한 '무관세' 특혜가 폐지되면 대만 내 제조업체들은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소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 제조업체는 어쩔 수 없이 생산기지를 본토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수밖에 없고, 본토 시장만 진출하고 이전할 수 없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으며 종업원이 많은 전통산업이 문을 닫으면 실업의 물결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여론조사, 서구인의 6%만이 미국이 유럽 안보를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
    [동포투데이]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 중 극소수만이 향후 10년 동안 자국의 안보를 보장해 줄 것이라고 신뢰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기관 유고브 (YouGov)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에서 3,36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그중 6%만이 미국이 향후 10년 동안 유럽의 안보를 보장하는 데 있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라고 믿고 있는 반면, 미국인의 24%는 매우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한나 선임연구원은 "연간 조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저항을 강력히 지지한 지 2년이 지나면서 이 비율은 충격적일 정도로 낮아졌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큰 기여를 해왔지만 서유럽인의 6%만이 미국이 매우 신뢰할 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에 대한 신뢰가 부족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나는 나토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낭비라고 표현하며 미국에 불공평하다고 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때문에 사람들이 미국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대다수 서유럽인과 미국인들은 미국이 유럽에 주둔하는 병력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유럽 방위의 주요 책임을 미국이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 오랫동안 국가 안보 계획을 요구해 온 프랑스에서는 31%가 유럽이 자체적으로 국방을 관리하고 미국과 '보다 중립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해 다른 국가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 세계에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인 국가 원수를 묻는 질문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소수의 표만 받았다. 반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독일인의 33%와 프랑스인의 25%가 가장 긍정적인 모범을 보였다고 답해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행사... 미-영 압력에 러시아 초청 취소
    [동포투데이] 프랑스는 오늘 제2차 세계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한다. 프랑스는 당초 이 행사에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지만, 미국과 영국의 문제 제기로 막판에 마음을 바꿔 러시아를 초청하지 않았다. 최근 러시아와 서방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2차 세계대전의 역사적 서술조차도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늘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에 고위 인사들과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모일 예정이다. 주최 측은 지난 4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초청하지 않지만, 2차 대전에서 소련의 역사적 역할을 고려해 일부 러시아 대표를 초청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프랑스 측은 프랑스 주재 러시아 대사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미국, 영국, 제2차 세계대전 동맹국 관계자들이 충격에 빠져 의문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미국 언론에 보도되자 프랑스 측은 러시아 측을 초청하지 않는 것으로 입장을 바꿨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5월 말 러시아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과 최근 몇 주 동안의 전투 격화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은 러시아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과거 러시아가 노르망디 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소련이 유럽 동부 전선에서 나치 독일의 대규모 군대를 막아 2차 세계대전 종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인 시기에 러시아 대표를 초청하는 것은 국제사회에 잘못된 인상을 주고 외교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프랑스 대통령실은 소련 홍군이 나치에 대한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에 대해 항상 존경을 표해 왔으며 러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구소련 공화국들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0년 5월 백악관은 소셜 플랫폼에 제2차 세계대전 유럽 전역의 승리를 축하하는 게시물을 게시하면서 소련을 언급하지 않고 미국과 영국이 나치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약 16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하며 나치 독일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상륙작전을 펼쳤다. 오늘 기념식에는 약 4,500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 200명이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로서 대부분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출신이다. 그중에는 틱톡에서 7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101세의 미군 참전용사 제이크 라슨도 포함되어 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기념식에 참석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전투 사이의 공명"을 강조할 예정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찰스 3세 국왕 부부 윌리엄 왕세자, 윌프레드 신 영국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귀빈으로 참석한다. 오늘 오후 1시(현지 시간)에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그해 오마하 해변에서 독일군의 강력한 공격으로 미군이 많은 사상자를 낸 오마하 해변에서 국제 기념식을 주재할 예정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 日 언론 “중국서 홍색 관광 유행”
    [동포투데이] 중국에서 '홍색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지지통신은 2일 중국 공산당(CPC)의 역사와 관련된 '홍색 관광'이 중국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국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공산당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도매우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중후반, 마오쩌둥은 장시성 징강산에 혁명 근거지를 세웠다. 한 40대 여성이 당시 공산당의 역사를 사진으로 전시한 징강산 혁명 박물관을 방문했다. 그녀는 인터뷰에서 "당과 마오 주석의 위대함에 감명을 받았고, 아이들과 함께 다시 방문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중국은 1990년대부터 공산당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을 개관하는 등 '애국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고전적 홍색 관광지 수는 10년 전보다 3배 증가한 300곳에 이르렀다. 과거에는 단체로 홍색 관광지를 방문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중미 관계가 긴장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심이 고양되고 방문객 수가 늘어났다는 분석도 있다. 징강산 거리에는 마오쩌둥 주석의 초상화 배지와 기타 상품이 진열된 상점들이 눈에 띈다. 군모를 쓴 한 20대 여성은 "멋지지 않아요? 여기 오면 꼭 하나 사야죠"라고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의 '홍색 관광' 시장이 향후 1조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미중 관계 침체에도 불구하고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홍색 경제'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방 언론에서는 중국의 '홍색 관광'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징강산 혁명박물관에서 만난 한 40대 남성은 "중국은 중국의 입장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6
  • 독일 국방장관 “독일 러시아와의 전쟁에 대비해야”
    [동포투데이]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부 장관은 독일이 향후 몇 년 안에 러시아와의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독일 주간지 포커스에 따르면 그는 "독일은 2029년까지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독일은 물질적, 재정적 문제뿐만 아니라 인력 훈련에 집중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피스토리우스는 또한 러-우크라이나 분쟁에서 러시아가 승리하면 독일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및 재정 지원보다 더 많은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의무 병역 복무를 시급히 복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앞서 프랑스군을 우크라이나에 파견할 가능성을 밝힌 바 있다. 마크롱의 발언은 독일을 비롯한 일부 나토 회원국은 물론 프랑스 국내 정치세력으로부터도 거센 비난을 받았다. 크렘린궁은 이후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파병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는 마크롱의 발언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5월 6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미군을 파견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제공이 정세 완화를 가로막고 나토 회원국들을 직접 충돌에 휘말리게 하는 '불장난'으로 보고 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제공을 포함한 어떤 물자도 러시아의 합법적인 타격 목표가 될 것이라고 경고해 왔다. 그는 미국과 나토가 우크라이나 분쟁에 직접 휘말리고 있다며 무기 공급뿐 아니라 영국·독일·이탈리아와 다른 나라에서도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크렘린궁은 앞서 서방의 우크라이나 무기 제공은 협상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6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中, 곳곳서 강온과 강설…올 겨울 극한의 한파가 올까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11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에서 지난 국경절 기간 동안 기온이 뚝 떨어진 후, 찬 공기가 이어지면서 중국 중동 지역에 강풍, 냉온 및 강우와 강설을 가져왔다. 10일, 중국 중앙기상대에 따르면 현재 찬공기의 영향이 막바지에 이르렀지만 지린성 동부(吉林东部), 헤이룽장(黑龙江)성 동부 등지에는 국지성 호우, 랴오닝(辽宁)성 동북부, 지린성 동부의 산악지대, 헤이룽장 남동부 등 산악지대에는 진눈깨비가 내렸고 지린 동부 산악지대에는 대설(大雪)이 내리기도 했다. 그리고 10월 초에는 예상보다 기온이 크게 떨어졌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기록적인 더위 끝에 밤새 추운 겨울을 경험했다. 에어컨 바람 쐬기부터 가을 바지 입기까지 올해의 한파는 너무 일찍 다가왔다. 한반도는 중국 동북의 랴오닝성 및 지린성 등 성과 붙어있기에 중국 동북지역과 비슷한 기후 상황을 보이고 있다. 남방 곳곳 ‘다이빙’ 식 강온 2일, 중국 중앙기상대는 한파청색경보를 발령했다. 이는 2010년 중국 중앙기상대가 조기경보 발령 체제를 본격화한 이후 하반기 가장 빠른 한파경보이기도 하다. 이어 지난 2일 14시부터 10월 6일 20시까지 중동부 대부분 지역의 기온은 일반적으로 8~12℃ 떨어졌고, 네이멍구(内蒙古) 중동부, 동북지구와 산시(陕西), 황화이(黄淮) 등 지역은 12~16℃, 국지적으로는 18℃ 이상 강온 되었다. 북쪽의 한파가 몰아치고 기온이 크게 내려갈 때, 남쪽의 대부분 지역은 여전히 한여름처럼 덥고 황색주의보가 내려져 국지적으로 40℃ 이상에 이르렀으며, 허페이(合肥), 난창(南昌), 창사(长沙), 항저우(杭州) 등 지역 470개 국가 급 기상 관측소는 10월 최고 기온 기록도 깼다. 중국 중앙기상대는 사상 처음으로 폭염과 한파주의보가 동시에 발령했다. 찬 공기가 계속 상승하면 남부 지역의 기온이 크게 뚝 떨어지면서 안후이(安徽), 후베이(湖北)와 장쑤(江苏) 및 기타 일부 지역의 기온이 20°C 이상 급락했다. 같은 기간 동안 가장 덥고 ‘환절기’ 냉각기후를 먼저 체험한 많은 남방의 네티즌들은 여름에서 겨울로 계절이 바뀌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경절 연휴가 끝난 뒤에도 찬 공기가 계속 밀려왔으며 비와 눈, 그리고 바람까지 동반했다. 8일부터 10일까지 중국 중동부 지역에 새로운 강추위가 영향을 미치면서 북방 일부 지역의 최저기온은 가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10일, 찬 공기의 영향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동북지방에는 여전히 기온과 눈깨비가 내렸다. 그리고 11일 광둥(广东)의 최저기온이 10℃ 아래로 떨어져 최저기온이 하반기 들어 가장 낮았다. 중국 중앙기상대 장타오(张涛) 수석예보관은 국경절 연휴 전반에는 아열대성 고기압이 비정상적으로 강하고 영향 범위가 넓어 남북 일부 지역에서 최고기온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전반적으로 온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강한 찬 공기가 북으로부터 저공으로 남쪽을 향해 내려가면서 지상 기온이 크게 떨어지고 냉난공기가 대치하며 옌화이(沿淮) 지역을 따라 흐리고 비가 내리면서 이 지역에 ‘역대로 같은 기간의 가장 추운 낮’이 나타난 것이다. 중국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 펑징페이(彭京陪) 고급 엔지니어는 기후 평균으로 볼 때 창장 유역의 가을 강수량이 여름보다 적다고 분석했다. 강수는 냉난 공기가이 만나는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며 냉난기온이 같을 때 지속적인 강수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10월 들어 중국은 강추위가 잇따랐고, 지난 8~9일 베이징 등지에서는 돌풍이 몰아쳤으며 돌풍이 7~9등급, 국지적으로는 10등급에 달하기도 했다. 이러한 강풍은 찬 공기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남방 지역의 강한 강수량이 지속되기 쉽지 않다. 실제로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창장 유역의 기온은 평년 같은 기간보다 4°C 이상 낮았지만 창장과 그 이남 지역의 기상 가뭄은 여전히 유지되었다. 올 겨울 더 추울까? 역대 가장 늦은 폭염주의보와 사상 첫 한파주의보를 겪은 후 많은 네티즌들은 올 겨울 극단의 한파를 겪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이에 앞서 9월 유엔 세계기상기구(WMO)는 2020년 시작된 라니냐 현상이 올해 말까지 지속돼 21세기에 처음 나타나는 트리플 라니뇨 현상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올해 4~5월 사이 중국 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는 대형 과학장치인 지구시스템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2022~2023년 3년 연속 라니냐 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관련 부처에 정확한 예측경보를 제공했다. 최신 예측 결과에 따르면 현재 라니냐 상태는 2022년 가을과 겨울에 지속 발전하여 겨울에 최고조에 달하게 된다. 그럼 새로운 라니냐의 영향력은 과거 두 라운드보다 더 커질까? 정페이(郑飞) 중국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 연구원은 “현재로선 판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역사적으로 3년 연속 발생한 라니냐 사태의 사례가 적어 통계적 결론을 내릴 수 없는 반면, 이번 라니냐 사태의 강도는 중간 강도의 범주에 속할 것이며, 향후 어떻게 발전하고 중국 기후에 영향을 미칠지 끊임없이 예측해야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샤오수(肖潺) 중국 국가기후센터 부주임은 지난 9월 말 중국 기상청 정례 브리핑에서 “지구 온난화를 배경으로 1986년 이후 따뜻한 겨울의 출현 빈도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라니냐 사태 이후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은 해가 있었다. 겨울철 기온 이상의 주요 특징은 중국 대부분 지역의 기온이 평년 같은 기간보다 낮다는 점, 특히 화베이(华北) 북부, 동북 지역의 남부, 화난(华南), 서남 지역의 동부와 북부, 서북 지역 등이다. 라니냐 사태 이후 중국의 겨울 강수량은 주로 동북지방의 동부, 창장 중하류, 서남지방의 남부, 신장(新疆)의 북부 등 지역의 광범위한 강수량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남의 북부, 북서부 동부 및 기타 지역은 강수량이 비교적 많았다. 그러나 샤오수는 라니냐 사태가 중국의 겨울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 중 하나일 뿐이며 중국의 겨울 기후는 북극 해빙, 유라시아 적설 등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대기 시스템 내부의 자연 변동률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했다. 기상 부문에서는 연구·판단을 강화하고 10월 후반에는 좀 더 세밀한 예측 의견 등을 제공할 예정방침이다. 정페이는 라니냐 사건과 따뜻한 북극해의 시너지 효과로 올 겨울 중국의 냉기 활동이 계속 강해질 가능성이 높고 단계적 저온 및 극한 사태가 발생하기 쉽다고 언급했다. 현재 북극해 온난화 현황과 향후 라니냐 사태 발생 가능성을 토대로 올겨울 중국 북방의 일부 지역의 기온이 다소 낮아 단계적 찬 공기의 영향으로 단계적 저온이 나타날 수 있고 극단적 한파가 폭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남방의 일부 지역에서는 저온, 동결, 비와 눈 등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중국 난징정보공학대학 국가초빙교수 뤄징쟈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해서는 라니뇨 사태의 영향으로 겨울이 다소 추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증가하고 이전 라니냐 사태에 비해 추운 정도가 덜 뚜렷할 수 있으며 매우 추운 겨울을 유발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 냉각은 한파 현상의 발생으로 나타날 수 있어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전문가, 극단의 냉 기온 사태 증가 추세 지난 여름, 중국 북반구 곳곳에는 이례적인 무더위가 찾아왔다. 중국의 대부분 지역도 고온으로 뒤덮여 있고 대부분 40℃ 이상의 고온을 계속 유지했다. 지구 온난화와 강한 한파 왜? 여러 전문가들은 강한 한파가 지구온난화와 모순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기후가 더욱 불안정해지고 여름철의 폭우, 고온, 폭염, 가뭄, 홍수와 겨울철의 극저온, 한파 등 극단 기상 사태의 빈도가 증가하고 강도가 높아지는 것은 지구온난화의 배경이다. 예를 들어,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중국에서는 극심한 한파의 영향을 받아 대규모 냉각과 극저온 현상이 나타났다. 중국 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의 자오량(赵亮) 고급 엔지니어는 중국 뉴스위크에 빈도 통계로 볼 때 지난 20년 동안 중국의 겨울 한파 일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시공간 차이는 매우 크다고 말했다. 공간적으로 한파일수 감소는 주로 남쪽에서 발생했지만 북쪽, 특히 동북지방의 한파일수는 감소하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시기적으로 겨울 전반에는 강한 한파가 많이 발생했고, 한파 감소는 겨울 후반(주로 2월)에 집중됐다. 2008년 이후 중국 동부의 겨울철 가장 추운 시기, 즉 매년 가장 강한 한파 사태 시기의 평균 최저기온이 1980년대와 1990년대보다 낮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으며, 이는 강한 한파 사태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오량은 중국 냉 기온 사태의 변화 특성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북반구 대기 순환 및 극지방 시스템의 중요한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가로 분석,했다. 그 중 겨울철 북극 온난화와 중위도 대륙의 냉랭화, 즉 온난북극-냉 대륙 현상의 중요한 변화 형태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을 포함한 중위도에서의 극저온 사태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중국 북부의 강력한 냉기온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 “지구적 이상기후가 지속되면서 겨울철 북반구에서 극한(한파) 사태가 발생하는 게 ‘일상’인 것 같다. 하지만 어디서, 언제 일어날지는 불확실하다”고 야오야오(姚遥) 중국 대기소 부연구위원은 말했다. 그렇다면 북반구의 경우 겨울에 극 와류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으며 유리한 대기 순환 시스템의 안내로 찬 공기가 서풍 급류 장벽을 더 쉽고 자주 돌파하여 중 저위도 지역으로 운반되어 극한(한파) 날씨를 유발하게 된다. 정페이는 극저온 사태에 대한 조기경보 작업에 대해 중 단기 일기예보와 2주 이상 기후 동향 예측을 강화해 동결, 비와 눈 피해에 대한 예방과 조기경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농업 및 축산, 에너지 및 운송 산업은 동결, 비 및 눈 재해의 조기 경보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효과적인 예방 조치 및 비상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10-13
  • 러시아, 크림대교 폭발사건 조사 결과 발표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현지시간으로 12일, 외신에 따르면 당일 러시아 연방 보안국은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 부다노프 국장이 크림대교 공격을 주도했으며 러시아 측이 크림대교 공격에 가담한 공범 12명을 밝혀내고 이 중 8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연방보안국은 러시아 시민 5명, 우크라이나 시민 2명, 아르메니아 시민 1명 등 크림대교 공격자 8명을 체포했다고 12일 러시아 타스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최소 12명이 이번 공격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폭발물은 벌가리아에서 그루지야와 아르메니아를 거쳐 사고 장소로 옮겨졌다는 것이 밝혀졌다. 얼마전 우크라이나 언론은 이번 다리 폭발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 크림대교에서 트럭이 폭발해 화물열차에 있는 기름탱크 7개가 불에 타는 등 대교 일부 구간이 파손되고 붕괴됐다. 크림대교 폭발로 인한 사망자는 11일 기준 4명으로 늘었다. 크림대교 폭발 직후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신속하게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고, 러시아 긴급 상황부와 교통부 관계자도 대통령을 대신해 사고 현장으로 이동했다. 러시아 연방정찰위원회는 크림대교에서 폭발한 트럭 소유자의 신원을 크라스노야르스크 변방 거주자로 파악하고 거주지를 조사하고 있으며 트럭의 이동 경로와 증명서 등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러시아 두마 의원인 모로조프는 크림대교 테러를 “더 이상 도발만이 아니라 ‘규칙 없는 선전포고’로 규정했다며 ‘응당한 대응’을 하지 않으면 앞으로 이런 일이 더 자주 일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이 사실에 앞서 폭발한 러시아 흑해함대 미사일 순양함 ‘모스크바호’와 함께 거론하면서 "러시아인, 앞으로 무슨 일이 또 일어날지 모른다"고도 했다. 크림대교는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를 잇는 전략적으로 중요하고 상징적인 다리이다. NYT는 다리 파손으로 러시아군의 주요 보급로가 위태로워졌다고 전했다. BBC는 호주 군사전문가 믹 라이언의 분석을 인용해 크림대교 사건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세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이는 우크라이나군의 전반적인 군사전략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라이언은 이런 철근 콘크리트 다리를 붕괴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폭약과 뛰어난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몇몇 특전사가 이렇게 많은 폭약을 휴대할 수는 없지만, 트럭이나 미사일, 폭탄 몇 개를 이용해 정확한 위치를 조준했다면 가능했을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라이언은 또 이번 사건이 우크라이나의 크림 탈환 계획의 일부이거나 다른 지역의 러시아군의 시선을 돌리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어느 경우든 러시아에는 ‘큰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2-10-13
  • 나토 회원국 국방장관 회의 브뤼셀에서 개최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나토 회원국 국방장관회의가 12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의 나토 본부에서 열렸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회의에 앞서 "이번 회의에서는 나토 동맹국들이 우크라이나에 무기 장비, 특히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계속 공급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며 "특히 미사일 방어체계는 이를 위해 각국이 무기 재고 교체에 박차를 가하고 무기 생산업체들의 생산능력 증대를 촉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나토가 주요 인프라에 대한 방어를 강화하고 핵 억제와 핵 방호에 관한 의제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2-10-12
  • 中, 9월 자동차 수출 일본에 이어 2위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지난달 중국의 자동차 수출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해외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면서 세계 2위 자동차 수출국으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했다. 화요일에 발표된 중국자동차공업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9월에 총 301,000대의 차량이 중국 항구를 떠났다. 9월 데이터는 8월의 최고 기록보다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동차 수출은 여전히 전년 대비 거의 74% 증가했다. 1~3분기 총 수출량은 212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했으며 첫해인 2021년 중국 자동차 수출량은 200만대에 달했다. 중국은 8월에 독일을 제치고 세계 2위의 자동차 수출국이 되었고 현재는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올해 첫 8개월 동안 중국에서 약 182만 대가 출하되었다. 독일자동차산업협회(German Association of Automotive Industry)에 따르면 같은 기간 독일의 수출은 166만대에 달했다.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글로벌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9월에는 국내 최대 SUV 및 픽업트럭 제조사인 민리장성자동차(Great Wall Motors)가 18,000대 이상의 차량을 해외에서 판매하여 이달 전체 판매의 5분의 1을 차지했다. 올해 들어 지금까지 해외에서 11만2000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한편 지난 금요일 태국 시장을 강타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H6 SUV는 40분간의 출시 행사에서 1,000대 이상의 주문을 받았다. 최동수 중국승용차협회 사무총장은 전기 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포함한 신에너지 자동차가 중국 자동차 수출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분기 NEV 수출은 총 38만9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두 배 수준이다. 이러한 차량의 상위 3개 목적지는 벨기에, 영국, 태국 등이다. 독일 렌터카업체 식스트는 이달 초 중국 BYD로부터 약 10만 대의 전기차를 구매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계약 1단계에서 BYD는 식스트에 수천 대의 EV를 납품할 예정이며, 그 중 첫 번째 EV는 올해 4분기에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SAIC Motor는 9월에 99,000대의 차량을 수출했다. 이 중 10,000대의 MG4 EV가 유럽으로 향했다. SAIC는 이 모델이 각국의 신차 품질 기준을 기반으로 한 중국-영국 팀의 결과물로, 4분기에는 아프리카 대륙 약 20개국에서 시판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SAIC는 또 이 모델은 유럽을 연간 판매 10만대에 달하는 첫 해외 시장으로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SAIC는 2025년까지 유럽에서 연간 최소 24만대의 NEV를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3분기 중국 외 지역에서 68만8000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56% 가까이 증가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10-12
  • 우크라이나, 수도 지하철 전 구간 운행 중단…대피소로 개방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1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국영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의 지하철 전 구간이 10일 중단되고 모든 역마다 대피소로 개방됐다. 보도에 따르면 키예프의 지하철 운행 재개 시기는 별도로 공지할 예정이다. 앞서 우크라이나 언론은 10일 수도 키예우 도심에서 여러 차례 폭발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우크라이나가 미사일 공격을 받고 있으며 방공경보가 계속되고 있다”며 “주민들은 대피소를 떠나지 말 것”을 당부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2-10-12
  • 말레이시아 국왕 압둘라, 국회 해산 비준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현지시간으로 10일, 이스마일 말레이시아 총리는 TV 연설을 통해 압둘라 국왕이 차기 대선을 위해 국회 해산을 승인하는 그의 요청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스마일은 이날 행정수도 푸트라자야에 있는 총리 관저에서 TV 연설을 통해 지난 대선 이후 말레이시아 내 정치 불안으로 총리가 수차례 교체됐고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국가 사회경제와 정치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 새 대선의 후보 지명일과 투표일 및 관련 사항은 선거관리위가 결정한다.    말레이시아 지난 총선은 2018년 치러졌으며 14대 국회는 2023년까지 임기가 남아 있다. 총리는 임기 만료 전에 언제든지 국회 해산을 모색할 권리가 있다. 말레이시아 법에 따르면 총선 투표는 국회 해산 후 60일 이내에 실시해야 한다.    말레이시아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국가 최고 입법기관이다. 총 222석의 하원의원은 5년 임기로 대선에 의해 선출된다. 그리고 상원은 70석으로 전국 13개 주의회에서 각각 2명씩 선출하고 나머지 44명은 총리의 추천으로 국왕이 위촉하며 임기는 3년으로 2선 연임할 수 있다. 통상 하원에서는 다수 의석을 차지하는 정당이 내각을 구성할 수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10-12
  • 러 국방부 “대규모 공격으로 모든 목표 달성할 것”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11일에도 우크라이나 군사지휘시설과 에너지 시설에 대한 러시아군의 집중공격이 계속됐다. 러시아 국방부는 "러시아군은 11일 공중과 해상의 장거리 고정밀 무기로 우크라이나의 군사지휘시설과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였으며 모든 목표물을 명중시켰다"고 밝혔다. 11일 아침 우크라이나 언론은 우크라이나 전역에 방공경보가 울렸다고 보도한 바 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0일 안보위원회 실무회의에서 이날 오전 고정밀 무기로 우크라이나 기반시설에 대해 대규모 공격을 가했다고 밝혔다. 푸틴은 크림대교 폭발을 민간 인프라 파괴를 위한 테러라고 표현했다. 또 우크라이나가 쿠르스크 원전에 대해 세 차례나 테러를 감행했으며 '터키 스트림' 가스관을 폭파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같은날 러시아 국방부는 고정밀 무기를 이용한 대규모 우크라이나 타격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언론은 10일 키예프와 키예프주, 하르코프, 오데사,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 리비우 및 리비우주, 이바노프란키우스크, 테레노폴, 크멜니츠키, 코노톱, 리브노, 폴타바 등 지역에서 미사일 공격으로 폭발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젤렌스키 사무실은 자포리자, 빈니차, 수메, 지토미르 전력시설이 타격을 입었다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2-10-11
  • 푸틴, 우크라이나 공격에 '가혹한 대응' 경고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월요일 우크라이나에 크림대교와 같은 공격이 더 있을 경우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개막식에서 "우리 영토에 대한 테러 공격 시도가 계속된다면 러시아의 대응은 가혹할 것이며 규모 면에서 러시아 연방이 가하는 위협 수준에 비례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누구도 이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덧붙였다. 푸틴은 또 "과학수사 및 기타 자료와 작전 정보에 따르면 10월 8일 발생한 폭발이 러시아의 중요한 민간 기반시설을 파괴하기 위한 테러 행위라는 것을 보여준다"며 "우크라이나 비밀경찰이 러시아의 중요한 민간 인프라를 파괴하기 위한 테러 공격을 지시하고 조직하고 실행한 것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정부가 국제 테러 단체와 동등하다"고 비난했다. 러시아 지도자가 크림대교 폭발을 테러리즘이라고 비난한 다음 날인 월요일 아침에 우크라이나 전역에 공습 사이렌이 울리면서 큰 폭발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를 뒤흔들었다. 비탈리 클리츠코 키예프 시장은 오전 8시 직후 도심 근처에서 최소 5번의 폭발음이 들린 후 수도가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도시 지하철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며 이 역들은 이제 대피소로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공영 방송인 서스필린(Suspilne)은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긴급 구조대를 인용해 보도했으나 자세한 인명피해는 밝히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서부의 리비우, 테르노필, 지토미르, 우크라이나 중부의 드니프로에서도 폭발이 보고됐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트위터 계정을 통해 강력한 대응을 약속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월요일 아침 우크라이나 국경 근처 벨고로드 지역에서 큰 폭발음이 들렸다고 보도했다. 바스트리긴 러시아 조사위원장에 따르면 폭발된 트럭은 불가리아, 그루지야, 아르메니아, 북오세티야, 크라스노다르 영토를 통과했다. 바스트리긴은 연방보안국(FSB) 요원의 도움으로 테러를 계획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과 러시아 연방 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 중에서 용의자를 찾아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인테르팍스 우크라이나 통신은 크림대교 폭탄 공격은 우크라이나 보안국이 수행한 특수작전이라고 우크라이나 사법기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SSU는 그 사건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우편국은 이미 지난 주말 다리 파괴를 기념하는 일련의 우표를 발행했다. 러시아 국영 통신사 타스(TASS)에 따르면 다리를 공격한 지 몇 시간 만에 이 우표들과 함께 예술가들이 공격에 대해 묘사한 거대한 복제 우표가 공개됐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일요일 러시아가 다리 폭발에 대한 보복으로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을 주장하지 않았다고 러시아 RIA 노보스티 통신이 보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푸틴은 월요일에 안전보장이사회 운영회의를 소집했다. TASS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안보리와 정기적으로, 보통 매주, 작전 회의를 하기 때문에 회담 자체가 이례적인 것은 아니다.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일요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화상통화를 갖고 "러시아의 잔혹한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묻고 우크라이나에 안보와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표명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월요일 키예프에서 폭발이 발생한 후 모든 당사자가 대화와 협상을 고수하고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모든 당사자들과 소통을 유지해 왔다"며 "중국이 긴장 완화를 촉진하는 데 건설적인 역할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2-10-11
  • 中, ‘제일 키 큰 전나무’ 83.4m로 기록 경신
    [동포투데이] 9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식물연구소, 국가 중요 야생식물 종질 자원고 진산센터(辰山中心)-상하이 진산식물원(辰山植物园)과 중화환경보호재단, 티베트자치구 린즈시 차위현 임업초원국 등으로 구성된 중국거수과학연구팀은 현재 중국 제일의 고수인 윈난황과전나무(云南黄果冷杉)의 정확한 높이를 83.4m로 확인 발표하고 그 등신상(等身照)을 공개했다. 당일 공개된 거목의 등신사진은 4명의 연구원이 드론으로 수 미터 간격으로 3~6장씩 찍은 뒤 수 미터 간격으로 나무 꼭대기까지 촬영해 160여장의 높이별 사진을 확보했다. 전체 화폭은 3억 5000만 화소가 넘고 100미터의 거대한 스크린에 투사하여 거목의 디테일을 표현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2-10-11
  • 미 뉴욕, ‘이민 위기’로 비상사태 진입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BBC와 CNN,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7일(현지시간), 에릭 애덤스 미 뉴욕시장은 이민자 유입에 대한 ‘위기 상황’에 대비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비상사태 시에는 뉴욕시의 모든 관련 기관이 협조해 예상되는 인도적 위기에 공동 대처하고 인도적 비상대응과 구호센터를 건설할 방침이다. 애덤스 시장은 “비상사태는 30일, 심지어 더 연장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7일, 뉴욕의 이민자 유입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비상사태를 선포한 애덤스는 이번 회계연도에 뉴욕시가 10억 달러의 손실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애덤스에 따르면 뉴욕시는 현재 수천 명의 노숙자와 수천 명의 망명 신청자를 포함한 6만1000명 이상의 이민자들이 등록돼 있으며, 이들은 모두 최근 다른 주에서 버스를 통해 뉴욕 시에 도착했다. 텍사스주는 10월의 첫째 주까지 이민자를 워싱턴 특구와 뉴욕시, 시카고로 보내는 데 1800만달러 이상이 들었다. 텍사스주지사는 지난 4월 바이든 정부의 이민정책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이 계획을 발표했으며 납세자들이 이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음을 인정했다. 지난 4월 이후 텍사스주에서는 1만7000여 명의 망명 희망자가 남부 국경에서 뉴욕시로 이송됐다. 애덤스는 “뉴욕시가 이번 회계연도가 끝날 때까지 최소 10억 달러를 들여 이민자 유입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의 속도로 망명 신청자가 계속 들어오면 내년 1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시는 이민자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42개 호텔을 긴급 대피소로 지정하였고 현재 5500명의 유동아가 입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또한 뉴욕시민들이 망명 신청자를 지원하는 잠재적 계획도 모색하고 있다. 애덤스 시장은 “뉴욕시는 최선을 다해 대응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현재 뉴욕 시에 도착하는 이민자 수는 영아나 유아가 있는 가정을 포함해 당장 수용할 수 있는 인원보다 더 많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애덤스는 현재 뉴욕으로 이민을 계속 보내고 있는 주의 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연방정부에 주택을 포함한 더 많은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백악관은 애덤스와 연락을 유지하고 있다며 자금과 기타 지원을 약속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2-10-1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