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뉴스홈
Home >  뉴스홈  >  국제뉴스

실시간뉴스
  • 러 전문가 “미·중 국방장관 회동 군사분야 균형 유지 목표”
    [동포투데이] 5월 31일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 러시아의 저명한 동방학자이자 외교관인 블라디미르 자하로프는 스푸트니크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중 국방장관 회동은 각자의 국가전략정책을 수행하는 방향 중 하나일 뿐 군사 분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대만은 워싱턴이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전략적 수단의 일부일 뿐, 대만의 군사적 충돌을 말할 시기는 아직 무르익지 않았으며, 대만 주변의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자하로프는 "워싱턴의 전반적인 전략 노선은 중국에 대한 글로벌 압박이며, 대만은 중국의 목을 조이기 위한 수단의 일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대만 해협의 상황이 긴박하긴 하지만 충돌이 임박한 상황은 아니다. 자하로프는 "양측이 아직 정치적, 군사적 측면에서 적절한 잠재력을 축적하지 못했기 때문에 대만을 둘러싼 군사적 충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다. 그렇기 때문에 양측은 대규모 군사 훈련부터 협상까지 다양한 훈련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방부 장관들은 현재로서는 넘을 수 없는 레드라인을 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대만 지역 지도자 라이칭더가 5월 20일 이른바 '취임' 연설을 했고, 사흘 뒤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는 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등의 병력을 조직해 대만섬 주변에서 '합동 검-2024A' 훈련을 벌였다. 군사훈련이 끝난 지 48시간도 되지 않아 미국 대표단이 대만을 찾았다. 미국 측은 또 대만과의 관계법에 따라 대만에 대한 방어용 무기를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하로프는 "대만 주변 정세는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며 "미국은 이 섬에 무기를 제공하고 국회 대표단을 파견해 분리주의자들과 양안 통일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격려했다고 지적했다. 현지시간 5월 31일 오후 싱가포르에서 동쥔 중국 국방부 부장과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회동을 가졌다고 중국 관영 CCTV가 보도했다. 미·중 국방장관이 직접 만난 것은 2022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회담에서 양국 국방장관은 미중 양국의 양국 관계, 대만 문제, 남중국해 문제, 우크라이나 위기,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충돌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회담에서 동쥔은 대만 문제에 대해 중국 측의 확고한 입장을 밝혔다. 동쥔은 미국이 라이칭더의 '취임'을 축하하고 대표단을 보내 '취임식'에 참석한 것에 대해 대만 문제는 순전히 중국 내정이며 외부 세력이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측이 실수를 제대로 바로잡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무력으로 대만독립을 돕지 말라'라고 촉구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2
  • 美국방장관 “중국과의 전쟁 불가피한 것이 아니다”
    [동포투데이]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31일에 있은 동준 중국 국방부 부장과의 회담이 만족스럽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오스틴의 발언은 미국과 중국 국방장관 간의 회담 직후에 나왔다. 그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 정상회의에서 "모든 논의가 유쾌하지는 않겠지만 서로 계속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이 "오산과 오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계속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스틴은 또 "중국과의 전쟁이 임박한 것도 불가피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오스틴은 싱가포르 '샹그릴라 대화' 안보포럼 기간 중 중국 국방장관과 만났다. 펜타곤은 중국군의 최근 대만해협 훈련과 우크라이나 주변 정세,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 논의하면서 75분간 전문적이고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오스틴이 중국의 러시아 군사 지원에 대한 워싱턴의 우려를 중국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스틴은 그러한 지원이 계속된다면 미국과 동맹국들은 "추가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10개국 외무장관, 북한에 러시아로의 무기 수출 중단 촉구
    [동포투데이]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10개국 외무장관들은 북한의 러시아로의 무기 이전이 우크라이나에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규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한국, 영국, 미국, 유럽연합 외무장관은 5월 31일 북한에 무기 수출을 중단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우리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중요 인프라를 공격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의 고통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지속적인 무기 이전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서방 동맹국들은 최근 북한과 러시아에 부과된 제재를 재확인했지만 새로운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이달 초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 협력에 관여하고 있다는 서방의 주장은 부정확하며 러시아와 북한 관계는 제3국을 겨냥한 것도 아니고 지역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북한에 모든 핵무기, 탄도 미사일 및 관련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성명은 외교적 채널만이 지속적인 평화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10개국 외교 장관의 성명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훈련 중 단거리 탄도 미사일 18발을 발사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 발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지휘했다. 북한은 이번 발사체는 북한군이 언제든지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적에게 인식시키고 적의 대북 무력사용 시도에 대응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유럽
    2024-06-01
  • 야스쿠니 신사 돌기둥에 '화장실' 낙서… 경찰 수사 착수
    [동포투데이] 야스쿠니 신사 입구 근처 '야스쿠니 신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돌기둥에 '화장실'이라는 영문 글자가 빨간색으로 쓰여져 있는 것을 경찰이 현장에서 확인했다 1일 오전 6시쯤(현지시간) 일본 도쿄 야스쿠니 신사의 돌기둥에 낙서가 새겨져 있다는 행인의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경찰은 현장에서 '야스쿠니 신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야스쿠니 신사 입구 근처 돌기둥에 빨간색 스프레이 페인트로 영어로 '화장실'이라는 단어가 쓰여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경찰은 현재 이 사건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4-06-01
  • 푸틴, 쿠데타에 직면? 전문가가 밝힌 징후
    [동포투데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오랫동안 전쟁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양측 모두 군사 자원을 계속 고갈시키고 있고 러시아 경제는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다. 최근 쿠데타의 조짐을 감지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군 지도부의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뉴스위크는 최근 모스크바가 대규모 뇌물 수수 혐의로 다수의 고위급 군 장교를 체포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러시아 제58군단 전 사령관이었던 이반 포포프 소장이 러시아 군을 비판한 후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 포포프의 체포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러시아군 병참을 연구한 적 있는 전 미 국방부 관계자인 트렌트 텔렌코는 5월 22일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에 올린 글에서 "남부군 제58군단의 포포프는 몇 안 되는 유능한 러시아 장군 중 한 명"이라고 밝혔다. 그는 푸틴이 그를 쿠데타로부터 막기 위해 보직에서 해임했다"라고 말했다. 고위층의 변화로 인해 제기된 우려에도 불구하고 체포 및 해임 발표 외에 쿠데타가 임박했다는 주장을 입증할 만한 실질적인 증거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러시아·우크라이나
    2024-06-01

실시간 국제뉴스 기사

  • 인도 코로나19 하루 사망자 수 4000명 돌파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8일, 인도 보건부에 따르면 당일 인도에서 코로나19 신규 사망자가 4187명이 발생하며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이후 처음으로 하루 사망자가 4000명 선을 넘었다. 또한 인도에서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이날까지 3일 연속 40만 명을 초과했으며 17일 연속 30만 명 선을 넘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사진은 8일, 코로나19 환자가 인도 뉴델리의 한 격리센터에서 산소에 의해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09
  • 미국 COVID-19 사망자 수 훨씬 더 많을 수도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최신 연구에 따르면 미국 COVID-19 사망자 수는 공식집계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6일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 산하 보건측정분석연구소(IHME)연구팀은 미국에서 905,000 명 이상의 사람들이 COVID-19로 사망했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현재 CDC(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보고한 561,594 명의 사망자보다 62% 많은 수치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COVID-19 사망자 수가 700만 명에 이르러 보고된 324만 명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HME 연구팀은 전염병 추세를 기반으로 모든 원인으로 인한 예상 사망자와 대유행 기간 동안의 실제 사망자 수를 비교하여 사망자 수를 추정했다. IHME는 9월까지 미국에서 949,000 코로나 관련 사망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팬데믹이 끝날 때까지, 총 사망자 수는 1918년 독감 발병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수와 맞먹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편, CDC(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미국이 예방 접종률을 높이고 방역조치를 강화한다면 7월까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크게 감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메리카
    2021-05-09
  • 中, 8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12명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8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12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보고된 신규 확진자 12명(상하이 6명, 광둥 5명, 닝샤 1명)은 모두 해외 입국자이다. 추가 사망자는 없으며 추가 의심자는 4명(해외 입국자)으로 확인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12명이고 의학관찰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 832명이며 중증 환자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8일 24시까지 확진자 300명(중증 1명), 누적 퇴원자 8만5822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758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3038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806명(퇴원 1만1486명, 사망 210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9명(퇴원 49명), 타이완 지역은 1183명(퇴원 1082명, 사망 12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09
  • 中 윈난서 미지의 공룡화석 발견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5일, 중국 윈난대학(云南大学) 척추동물진화연구원은 중국과학원 고척추 및 고인류연구소는 윈난 루펑(禄丰)에서 길이 약 1.7미터가 되는 용각류 공룡 유체(幼體) 화석을 발견했다. 이 표본은 3살 전후로 그 어떤 종류에도 속하지 않는 공룡화석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6일, 중신망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루펑에서 공룡 유체화석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이 공룡화석은 두개골 일부를 포함해 완전한 경추, 등추, 그리고 장골까지 포함하고 있고 넓적다리뼈 원단과 무릎뼈 근단도 있으며 이빨이 잎사귀 모양을 하고 있는 식식성(植食性) 공룡이다. 골조직학 연구에 따르면 이 표본은 개체 발달 초기 단계로 세계의 다른 용각류 유체(幼體)와 비교한 결과 연구진은 3세 전후로 보고 있다. 분석결과 이 표본은 다른 용각류와 비교해 볼 때 이미 알고 있는 어떤 종류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09
  • 中, 간쑤 아커싸이 국도 사막 깊숙한 곳까지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몇 년간 중국의 도로와 철도는 산간지대는 물론 동서남북조차 분간하기 어려운 천리 사막의 깊숙한 곳까지 뻗어 있어 말 그대로 사통발달이다. 보도에 따르면 쿠무타그사막(库木塔格沙漠) 경내에 위치한 간쑤(甘肃省)성 주취안 (酒泉市)시 아커싸이 카자흐족(阿克塞哈萨克族)자치현 경내에는 국도 215선 사산거우(沙山沟) 도로와 둔거철도, 사산거우 대교가 치렌 설산을 배경으로 굽이굽이 돌아가며 일종 진풍경을 이루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일, 촬영한 둔거철도와 국도 215선 사산거우도로의 모습이다.(사진 : 인민망)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08
  • 창정 5B 잔해 로켓 추락..中 "피해 확률 극히 낮아"
    중국은 4월 29일 원창 우주발사센터에서 우주정거장 핵심모듈 '톈허'를 발사했다.[사진: 차이나데일리] [동포투데이 김현나 기자] 중국 외교부는 창정 5B 잔해 로켓 추락으로 인한 피해 확률은 지극히 낮다고 주장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이같이 주장하며 중국은 로켓의 대기 재진입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종류의 로켓은 재진입 과정에서 부품이 대부분 타버릴 수 있도록 설계를 하고 있다"며 “잔해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왕 대변인은 “대기권 재진입 시 로켓의 핵심 단계를 태워버리는 것이 국제관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중국 당국이 적절한 시기에 모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외신들은 중국이 우주정거장 건설용으로 쏘아올린 창정 5B 잔해 로켓이 이번 주말 지구에 추락할 예정이라며 통제 불능 상태에 낙하지점도 알 수 없어 자칫 인명피해가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08
  • 서호주 주총리, 중국과의 관계 개선 촉구
    [동포투데이 화영 기자] 마크 맥고완 (Mark McGowan) 서호주 주총리는 호주 연방정부에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고 7일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맥고완은 중국이 6일부터 중국-호주 전략경제대화를 골자로 한 모든 활동을 무기한 중단한다는 결정을 발표한 후 당일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고 인터넷 신문 WAtoday이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맥고완은 중국이 내린 결정의 세부 사항을 잘 알지 못한다고 말하면서도 중국을 상대할 때 '적대적 언어'를 쓰지 말라고 경고했다. 맥고완은 중국을 상대로 전쟁, 갈등 및 적대 행위와 관련된 언어를 중단해야 한다는 자신의 입장은 매우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적대적 언어는 누구에게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호주 국민들도 그런 언어를 원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거듭 강조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5-08
  • 中, 7일 코로나 본토 확진자 0명...해외 입국자 7명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7일(0~24시 기준) 31개 성(자치구·직할시)과 신장생산건설병단(新疆生產建設兵團)에서 7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날 보고된 신규 확진자 7명(상하이 2명, 톈진 1명, 저장 1명, 후난 1명, 충칭 1명, 산시 1명)은 모두 해외 입국자이다. 추가 사망자는 없으며 추가 의심자는 4명(해외 입국자)으로 확인됐다. 이날 퇴원환자는 15명이고 의학관찰에서 해제된 밀접접촉자는 288명이며 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2명 줄었다. 7일 24시까지 확진자 300명(중증 1명), 누적 퇴원자 8만5810명, 누적 사망자 4636명, 누적 확진자 9만0746명으로 집계됐다. 이외 홍콩·마카오·타이완 지역의 누적 확진자는 1만3028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홍콩특별행정구 확진자는1만1801명(퇴원 1만1473명, 사망 210명),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49명(퇴원 49명), 타이완 지역은 1178명(퇴원 1077명, 사망 12명)이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아시아
    2021-05-08
  • WHO, 중국 시노팜 코로나19 백신 긴급사용 승인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WHO(세계보건기구)는 7일 중국 시노팜 COVID-19 백신 긴급사용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산 백신이 WHO로부터 긴급 승인을 받은 것은 이번 처음이다. 테드로스 아다놈 게브레예수스 WHO 총장은 언론 브리핑에서 "WHO가 승인한 중국 시노팜 백신은 안전성과 효능, 품질 검증을 받은 여섯 번째 백신이 됐다"고 말했다. WHO 전문가팀은 18세에서 59세 사이의 사람들에게 3-4 주 간격의 2회 투여 일정으로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실험에 참여한 전 연령단계에서 감염자와 입원 환자에 대한 효율은 79%로 평가됐다. 한편 WHO는 시노팜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사용 연령 상한선을 두지 않는 등 평가 수치상 노인에게도 보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스노팜 백신은 현재 전 세계 많은 국가에서 승인되었으며 약 6,500만 도스 배포되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5-08
  • 호주 토종 나비 26종 멸종 위기 직면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 최근 호주 연구진이 주도한 연구에 따르면 현재 호주에서 26종의 토종 나비가 멸종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만약 새로운 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이 나비들은 20년 내에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이 연구는 호주의 대학과 박물관, 정부, 환경보호기관 소속 과학자 도합 28명이 공동 수행했으며 관련 논문은 최근 호주 ‘곤충학 저널’에 발표됐다. 이 26종 나비 중 표범점박이 네발나비가 20년 안에 멸종할 가능성이 94%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멸종 위기 나비도 4종이나 되었다. 헤일리 게일 호주 찰스다윈대학 연구자는 물종 멸종을 막기 위한 첫걸음은 이들을 먼저 식별해야 하겠으나 더 중요한 것은 이들 물종에 대한 새로운 보호 장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비 보호는 서식지 보호, 산불관리 강화 등에서 착수할 수 있으며 이들 멸종위기 나비종은 보호조치만 제대로 된다면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호주 국립대학 부교수인 마이클 브로비 박사는 나비가 생물 다양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환경변화 지시기라고 말했다.
    • 뉴스홈
    • 국제뉴스
    • 중동·아프리카
    2021-05-07
비밀번호 :